이스라엘과 하마스 휴전 협정 맺어 'ceasefire deal'
오전엔 흐리다가 눈발이 조금 날렸는데......,
이스라엘과 하마스가 'ceasefire deal' 휴전협정을 했다고 합니다. 세계에서 여기저기 사건이 이어지는데 이제 좀 진정이 되려는 국면으로 들어가는 시작이 될까요?
2025년 1월 16일,
오늘 제가 가지고 온 기사 몇 줄 바로 들어갑니다.

Biden says he is 'deeply satisfied' with the Israel-Hamas ceasefire deal, which will also include the release of dozens of hostages in Gaza
satisfy [ˈsætɪsfaɪ] 만족하다, 흡족하다
he is deeply satisfied 그는 아주 만족스러워 했다.
ceasefire 휴전, 정전 (=truce [truːs] 휴전 )
cease fire 사격 중지
cease [siːs] 중단되다, 그치다, 중단시키다
cessation [seˈseɪʃn] 명사 격식 중단, 중지
deal 거래, 합의
dealt [dæːlt] deal의 과거/과거분사
include [ɪnˈkluːd] (동사) 포함하다
(↔exclude [ɪkˈskluːd] 제외[배제]하다)
release [rɪˈliːs]
풀어 주다, 석방, 발표, 개봉, 발간, 출시
dozen
(12개를 한묶음으로 함) 십여 개, 다수, 그래서 dozens는 많은 양을 말함
hostage [|hɑːstɪdʒ] 인질
hostage-taking 인질극
hostage-taker 인질을 잡은 사람
a person in hostage 인질로 있는 사람
hold a person hostage 을 인질로 잡아두다
be taken hostage 인질로 잡히다
hostile [|hɑːstl]
- 1.형용사 적대적인
- 2.형용사 (~을) 강력히 반대[거부]하는 (=opposed to)
- 3.형용사 (진행·달성을) 어렵게 하는
hostility [hɑː|stɪləti]
- 1.명사 적의, 적대감, 적개심
- 2.명사 (생각·계획 등에 대한) 강한 반대[반감]
- 3.명사 격식 (전쟁에서의) 전투, 교전
a hostile takeover bid
적대적 기업 인수
hostile to the idea of change
변화라는 생각에 강한 거부감을 보이는
→바이든 대통령은 이스라엘-하마스 간 휴전 합의에 대해 '매우 만족스럽다'고 밝혔으며, 이 합의에는 가자지구에서 수십 명의 인질이 석방되는 내용도 포함된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이스라엘과 하마스 사이의 휴전 합의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으며, 해당 합의가 인질 석방이라는 중요한 요소를 포함하고 있음을 강조한 내용입니다.
Israel and Hamas reach a deal on Gaza ceasefire, Hamas and Qatari officials say
reach [riːtʃ] 닿다, 에 이르다, 거리, 범위
- 1.동사 …에 이르다[닿다/도달하다]
- 2.동사 (어떤 사람의 관심권 내에) 들어가다[미치다]
- 3.명사 (팔이나 다른 물건을 뻗쳐 닿을 수 있는) 거리[범위]
- 4.명사 (세력·영향력 등의) 범위[권한]
reach out
연락을 취하려하다, (손 등을) 뻗다, (식물이) 자라다
reach out to
에게 손을 뻗어 다가가다, 에게 접근하다,
에 관심을 가지고 다가가다
reach for 손을 뻗다
reachable 가 닿을 수 있는, 도달 가능한
global reach
전반적인/전세계에 걸치는 영향권
→이스라엘과 하마스가 가자지구에서의 휴전에 합의했다고 하마스와 카타르 관계자들이 밝혔다.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휴전 합의가 이루어졌으며, 이를 하마스와 중재 역할을 한 카타르 관계자들이 발표했다는 내용을 전달하는 기사였습니다.
Israel-Hamas ceasefire: 2 Americans expected to be released by Hamas in first phase of deal
2 Americans expected
2명의 미국인은 기대/예상 했습니다.
to be released 석방 되기를
by Hamas 하마스로 인해/ 하마스가
in first phase of deal 첫번째 협의에서
phase [feɪz] 단계, 단계적으로 하다
- 1.명사 (변화·발달 과정상의 한) 단계[시기/국면]
- 2.명사 (주기적으로 형태가 변하는 달의) 상[모습]
- 3.동사 (일의 진행을) 단계적으로 하다
phase out
단계적으로 폐지하다, 을 단계적으로 중단하다
phased 단계적인
phase sth in
sth을 단계적으로 도입[시작]하다
phasein 단계적 도입
phasedown 단계적 삭감
in phase/out of phase
서로 맞게 돌아가는
in design phase 계획 단계
phrase [freɪz] ◈ 헤깔림 주의(스펠링 하나 차이)
- 1.명사 문법 구(句: the green car, on Friday morning처럼 동사 외의 낱말들 두 개 이상으로 이뤄진 문장 성분) (→noun phrase)
- 2.명사 구절, 관용구 (→catchphrase)
- 3.동사 문법 (말·글을 특정한 방식으로) 표현하다
- 4.동사 (음악 작품을) 악구를 나누다, 악구를 구분하여 연주하다[부르다]
set phrase 관용구
'관용구, 관용적 표현'의 "관용"의 뜻은 慣用 익숙할 관, 쓸(쓰다) 용.
: 습관적으로 쓰는 말이나,
두 개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져 그 단어들의 하나 하나의 의미를 말하기도 하지만, 말 안에 어떠한 의미를 내포하는 표현을 관용어, 관용구 라고 합니다.
‘발이 넓다’는 말 그대로 발이 크다는 말을 하는 것일 수도 있지만 ‘(사교적이어서) 아는 사람이 많다.’를 뜻하는 것과 같이
말 안에 어떠한 의미를 내포하는 표현을 관용어, 관용구 라고 합니다.
→이스라엘-하마스 휴전: 합의의 첫 단계에서 하마스가 미국인 2명을 석방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휴전 합의가 이루어진 가운데, 첫 단계로 하마스가 미국 국적의 인질 2명을 석방할 계획임을 나타내는 기사였습니다.
The deal is expected to free dozens of hostages held in Gaza, as well as Palestinians in Israeli jails, bringing the first real break in violence in over a year.
The deal is expected to free
그 협의는 석방(free)을 기대/예상 한다
dozens of hostages 수십 명의 인질들을
held in Gaza
가자에 구금(held 'hold'의 과거)되 있는
as well as (마찬가지로) Palestinians in Israeli jails, 이스라엘의 감옥에 있는 팔레스타인인들
Palestinian [pæ̀ləstíniən] /펠레스.티니언/
팔레스타인의, 팔레스타인 사람.
Palestine [pǽləstàin] / 팔레스타인(나라이름)
(지중해 동쪽의 옛 국가; 1948년에 그 일부에 Israel이 건국됨; the Holy Land, Promised Land라고도 불리며, 성서에서 말하는 Canaan 땅)
Israeli [izréili] /이즈뢰일리/
이스라엘 사람, 이스라엘의
Israel [ízriəl] /이즈뤼얼/ 이스라엘
(아시아 남서부의 지중해에 면한 유대인의 공화국, 수도 Jerusalem)
Israelite [|ɪzrəlaɪt] /이즈뤼얼라이ㅌ/
(명사) (성서에 묘사된) 고대 히브리인
Jerusalem [dƷirú:sələm] / 쥬.루우:슬러엄/
예루살렘, 이스라엘 수도
(그리스도교도·유대교도·이슬람교도의 성도(聖都), 현재는 이스라엘의 수도)
bringing 가져오다
여기서 'bringing'은 현재분사로 쓰여 '결과를 나타내는 표현' 입니다. 앞 문장의 내용이 '1년 넘게 이어진 폭력 사태에 처음으로 진정한 휴식(break)을 가져오게 될 것' 이라는 결과를 초래한다(가져온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즉, "이번 합의로 인해 폭력 사태가 진정될 것"이라는 결과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우리말에서는 자연스럽게 해석하기 위해 "~하게 되다" 또는 "~을 가져오다"로 의역하면 됩니다.
현재분사 現在分詞 :
동사 변화형의 하나인데, 현재 진행 중임을 나타내는 동사의 기능과 체언을 수식해 주는 형용사적인 기능을 동시에 가진다는 뜻입니다.
현재분사 現在分詞 나타날 현, 있을 재, 나눌 분, 말(언어,글) 사
그리고 체언(體言) 이란 : 몸 체, 말씀 언
문장에서 주어 등의 기능을 하는 명사, 대명사, 수사를 통틀어 이르는 말을 뜻합니다.
bring
- 1.동사 가져오다, 데려오다
- 2.동사 가져다[제공해] 주다
- 3.동사 야기하다, 가져오다
bring up 불러 일으키다
bring up (the subject)
(어떤 화제에 대한) 말을 꺼내다
bring sth up
(화제를)꺼내다 (=raise), 토하다, 게우다, (컴퓨터 화면에) 띄우다
bring sby up
- 1.(예의범절을 가르쳐 가며) ~를 기르다[양육하다] (=raise) (→관련 명사는upbringing)
- 2.(법정에) 소환하다
bring in 도입하다, 유치하다, 를 관여하게 하다, 벌다
bring down 내리다, 떨어뜨리다, 파멸시키다, 붕괴시키다
Just bring yourself
그냥 몸만 오세요
(아무것도 필요 없으니 편하게 오세요)
upbringing 양육, 훈육, (가정)교육
bringing up 양육, 훈육
bringing a ship 회항
to have had a sheltered upbringing 보호 속에 양육되다
have a strict upbringing 엄격한 가정교육을 받다
the first real break 처음의 진정한 휴식
in violence 폭력 사태
violence [ˈvaɪələns] (명사) 폭력, 폭행, (폭력적인)위범
violent [ˈvaɪələnt] (형용사) 폭력적인, 난폭한
in over a year 1년 넘게
→이번 합의로 가자지구에 억류된 수십 명의 인질들과 이스라엘 감옥에 수감된 팔레스타인인들이 석방될 것으로 예상되며, 1년 넘게 이어진 폭력 사태가 처음으로 진정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합의가 인질 및 수감자 석방과 함께 장기간 지속된 폭력을 완화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는 내용이었습니다.
저는 문장에서 목적어 보다 동사를 더 중요하게 여깁니다. 목적어는 뜻 그대로가 쓰이는데, 동사는 의외로 쉬운 말들이 해석이나 영작에서 어떻게 해야 매끄러울지 엄청 헤매고 다닙니다. 문맥에 따라 우리말로의 변화가 무쌍하거든요.
그래서 의역으로 해석해서 전달할지 아니면 뜻 그대로를 적어야 할지... 그래도 뜻 그대로를 적어야 공부에 도움이 되겠지, 의역은 각자도 할 수 있으니까. 해서 단어 선택에 더 신경을 씁니다.
당연히 아는건데 뭐이리 상세히 적으시나~ 라고 여기지 마시길 ㅎ.
우리나라도 어제부터 진정이 되는 시기로 들어가게 되었고 이들 나라도 이렇게 변하기 시작했으니 세계의 판도가 다시 안정을 찾는 길로 갔으면 좋겠어요.
근데 이거, 트럼프가 하려고 했던 일 중에 하나인데 바이든 정부가 선수 친 건가요? ㅎ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