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우리나라의 이슈들

국내 주식거래 독점이었던 한국 주식 거래소(KRX)에서 '넥스트레이드(NEXTrade)' 출범으로 두 곳으로 확대!

polleng-st 2025. 3. 12. 20:58
반응형

주식시장

 

 

한국의 증권거래 시장은 오랜 기간 동안 한국거래소(KRX)가 독점적으로 운영해왔습니다. 그러나 2025년 3월 4일, 국내 최초의 대체거래소(Alternative Trading System, ATS)인 '넥스트레이드(NEXTrade)'가 출범하면서 이러한 독점 구조에 변화가 생겼습니다.

 

이제 현재 국내 주식 거래는 **한국거래소(KRX)**와 대체거래소(넥스트레이드, NEXTrade) 두 곳에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대체거래소(ATS)란 무엇인가요?

대체거래소는 기존의 정규 거래소 외에 주식 등 증권을 거래할 수 있는 전자거래 플랫폼을 의미합니다. 이는 투자자들에게 더 다양한 거래 옵션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넥스트레이드의 주요 특징은 무엇인가요?

  • 거래 시간 확대: 넥스트레이드는 기존 한국거래소의 정규 거래 시간(오전 9시~오후 3시 30분) 외에도 오전 8시부터 8시 50분까지 프리마켓, 오후 3시 30분부터 오후 8시까지 애프터마켓을 운영하여 총 12시간의 거래 시간을 제공합니다.
  • 다양한 호가 방식 도입: 기존의 시장가와 지정가 외에도 최우선 매수·매도 호가의 중간 가격으로 자동 조정되는 '중간가 호가'와 투자자가 정한 가격에 도달한 후 지정가로 주문을 내는 '스톱지정가 호가' 등이 추가되어 투자자들의 다양한 거래 전략을 지원합니다. 
  • 수수료 인하: 넥스트레이드는 매매체결 수수료를 한국거래소보다 20~40% 저렴하게 설정하여 증권사와 투자자 모두에게 비용 절감의 혜택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어떤 영향이 있나요?

넥스트레이드의 출범으로 한국의 증권거래 시장은 경쟁 체제가 도입되어 투자자들에게 더 많은 선택권과 유리한 거래 조건을 제공하게 되었습니다. 거래 시간의 확대와 다양한 호가 방식, 그리고 수수료 인하는 투자자들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 한국의 증권거래 시장은 더욱 발전된 형태로 나아가고 있으며, 투자자들은 새로운 거래소의 도입으로 인한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넥스트레이드(NEXTrade) 출범에 따라, 현재 국내 28개 증권사가 이 거래소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각 증권사의 참여 범위와 시기는 다를 수 있으므로, 이용 중인 증권사가 넥스트레이드를 통해 거래를 지원하는지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넥스트레이드에 참여하는 증권사 목록:

  • 모든 시장 거래에 참여하는 14개 증권사:
    • 교보증권​, 대신증권,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NH투자증권, LS증권, 유안타증권, KB증권, 키움증권, 토스증권, 하나증권, 한국투자증권, 한화투자증권, 현대차증권 
  • 프리마켓 및 애프터마켓에 우선 참여하고 이후 모든 시장으로 확대 예정인 14개 증권사:
    • 다올투자증권, DB금융투자​, BNK투자증권, 메리츠증권, 부국증권, 신영증권, 신한투자증권, IBK투자증권, iM증권, SK증권, 유진투자증권, 카카오페이증권, 케이프투자증권, 한양증권

따라서, 이용 중인 증권사가 넥스트레이드를 통해 거래를 지원하는지, 그리고 원하는 종목이 거래 가능한지 확인하신 후 거래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아! 그리고 현재 넥스트레이드(NEXTrade)는 국내 주식 거래를 위한 대체거래소(ATS)로서 운영되고 있으며, 해외 주식 거래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해외 주식 거래를 원하시는 경우, 기존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해외 주식 거래 서비스를 이용하셔야 합니다. 예를 들어, 한국투자증권은 미국, 홍콩, 일본 등 주요 해외 시장의 주식 거래를 지원하며, HTS(eFriend Plus)를 통해 온라인으로 거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외 주식 거래를 위해서는 이용 중인 증권사의 해외 주식 거래 서비스를 활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각 증권사의 서비스 내용과 수수료 정책이 다를 수 있으므로, 자세한 사항은 해당 증권사의 공식 웹사이트나 고객센터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한국거래소(KRX)

  • 기존의 독점적인 증권거래소였으며, 코스피(KOSPI), 코스닥(KOSDAQ), 코넥스(KONEX) 시장을 운영
  • 모든 국내 주식 거래가 한국거래소를 통해 이루어졌음
  • 정규 거래 시간: 오전 9시 ~ 오후 3시 30분

2. 대체거래소(넥스트레이드, NEXTrade)

  • 2025년 3월 출범한 국내 최초의 대체거래소(ATS, Alternative Trading System)
  • 한국거래소와 경쟁하는 증권 거래 플랫폼
  • 일부 증권사에서 넥스트레이드를 통해 주식을 거래할 수 있음
  • 거래 시간 확대: 오전 8시 ~ 오후 8시 (프리마켓, 애프터마켓 포함)
  • 수수료가 더 저렴하고, 다양한 주문 방식 지원

 

 

한국거래소 vs 넥스트레이드 비교


구분 한국거래소(KRX) 넥스트레이드(NEXTrade)
운영 형태 기존 증권거래소 (공식 시장) 대체거래소 (ATS)
거래 가능 종목 코스피, 코스닥, 코넥스 상장 종목 코스피, 코스닥 주요 종목 (확대 예정)
거래 시간 09:00 ~ 15:30 08:00 ~ 20:00
거래 방식 매도·매수 주문 체결 다양한 주문 방식 (중간가 주문, 스톱 지정가 주문 등)
수수료 증권사별 상이 한국거래소 대비 20~40% 저렴

넥스트레이드는 특히 거래 시간 확대, 수수료 절감, 다양한 주문 방식 등의 차별점을 가지고 있어 투자자들에게 새로운 선택지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넥스트레이드가 한국거래소와 어떻게 경쟁해 나갈지, 그리고 투자자들에게 더 많은 혜택을 줄 수 있을지가 관심 포인트가 될 것 같네요! 

 
 
 
 

'대체거래소(넥스트레이드)'가 기존의 한국거래소(KRX)보다 더 유연한 거래 옵션을 제공하는 게 가장 큰 특징이에요. 특히  "중간 가격에서 거래 가능" 한 점이 기존 시장과의 차별점이죠.

 

 

넥스트레이드의 유연한 거래 방식

중간가 호가 (Mid-Point Order)

  • 최우선 매수·매도 호가의 중간 가격에서 자동으로 주문이 체결됨
  • 장점: 투자자가 너무 높은 가격에 매수하거나, 너무 낮은 가격에 매도하는 리스크를 줄일 수 있음
  • 예를 들어,
    • 매수 최우선 호가가 50,000원,
    • 매도 최우선 호가가 50,100원이면,
    • '중간가 호가(50,050원)'에서 주문이 가능!

스톱 지정가 주문 (Stop-Limit Order)

  • 특정 가격 도달 시 자동으로 지정가 주문을 넣는 방식
  • 장점: 갑작스러운 주가 변동에 대응 가능 (손절매 or 목표가 매도 설정 가능)
  • 예를 들어,
    • 현재 주가가 49,500원인데,
    • "50,000원 이상 오르면 50,100원에 매수"하는 조건을 설정 가능

 

 

거래 시간 확대 (08:00~20:00)

  • 기존 한국거래소(KRX)보다 긴 시간 동안 거래 가능
  • 프리마켓 (08:0008:50) + 애프터마켓 (15:3020:00) 운영

수수료 절감

  • 한국거래소 대비 20~40% 저렴한 거래 수수료
    (특히 거래량이 많은 투자자들에게 유리)

결론: 대체거래소(넥스트레이드)는 더 유연한 거래 플랫폼

  • 중간가 거래 기능을 통해 최적의 가격에서 거래 가능
  • 스톱 지정가 주문으로 자동 매매 설정 가능
  • 한국거래소보다 긴 거래 시간으로 더 많은 기회 확보
  • 수수료 절감으로 거래 비용 절약 가능

즉, 넥스트레이드는 좀 더 유연하고 전략적인 매매를 원하는 투자자들에게 유리한 옵션이 될 수 있어요.
앞으로 한국거래소(KRX)와 넥스트레이드 간의 경쟁이 어떻게 진행될지도 흥미로운 부분이네요! 😊

 

참고로, KRX는 "Korea Exchange"의 약자로, 한국거래소를 의미합니다, 한국의 유일한 증권거래소로 2005년 한국증권거래소, 코스닥증권시장, 선물거래소가 통합되면서 출범했어요.

 

 

 코스피(KOSPI), 코스닥(KOSDAQ), 코넥스(KONEX) 차이점

시장대상 기업특징일반인 투자 가능 여부
코스피 대기업, 대형 우량주 삼성전자, 현대차 같은 대기업 상장  가능
코스닥 중견·벤처기업, IT·바이오 기업 카카오, 셀트리온 같은 기술기업 중심  가능
코넥스 스타트업, 초기 중소기업 코스닥보다 더 작은 기업 대상 ⛔ 일반 투자자 제한

 

 코넥스(KONEX)란?

'코넥스(KONEX)'는 "Korea New Exchange"의 약자로, 2013년에 만들어진 스타트업·중소기업 전용 증권시장이에요.
쉽게 말해, 코스닥보다 더 작은 기업들이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만든 시장이에요.

  • 대상 기업: 벤처기업, 스타트업, 초기 중소기업
  • 목적: 코스닥으로 가기 전에 성장할 기회를 주는 시장
  • 상장 조건이 완화됨: 자본금이 적고, 아직 매출이 크지 않아도 가능
  • 코스닥·코스피로 가기 위한 ‘등용문’ 역할

예를 들어, 코넥스에서 성장한 기업이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코스닥, 코스피로 이전 상장할 수 있어요.

 

4️⃣ 일반인도 코넥스에 투자할 수 있을까?

일반 투자자는 코넥스에서 직접 투자하기 어려움.
원칙적으로 "기관투자자·전문투자자"만 거래 가능. 하지만 일반 투자자도 조건을 충족하면 가능합니다. 

 코넥스 투자 가능 조건 (1개 이상 충족 시 가능)

  1. 개인 전문 투자자 (금융투자 잔고 5천만 원 이상 & 금융투자업계 1년 이상 경험)
  2. 예탁금 3천만 원 이상 보유한 투자자
  3. 코넥스 전용 펀드를 통해 간접 투자

즉, 초보 투자자가 바로 투자하기엔 어려운 시장이고, 일정한 요건을 갖춘 투자자만 직접 거래할 수 있어요.

 

코넥스는 말 그대로 스타트업을 위한 시장이라, 일반 투자자보다는 기관 및 전문 투자자 중심으로 운영된다는 점이 차이점이에요! 

 

 

 

 

[이 포스팅은 일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일정액의 커미션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