뉘앙스의 차이가 고급영어 스킬의 끝

알파벳 e로 끝나는 단어 Magic E/Silent E 규칙 (feat. sit, site 등등등)

polleng-st 2025. 3. 4. 21:35
반응형

[이 포스팅은 일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일정액의 커미션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매직 e

 

언어를 파다 보면 우리나라 말도 포함해서 각각의 언어마다 어떤 패턴이 보여요. 그 중 하나로, 

똑같이 생긴 단어인데 끝에 'e'가 붙고 안붙고에 따라 뜻과 발음(짦은 모음소리 / 긴 모음소리)이 달라집니다. (단어 공부할때 대 환장이었어요 ㅎ)

 

단어 끝이 e로 끝나면 i의 발음이 '아이'로 되고, e가 없으면 i가 '이'로 발음이 됩니다. 예를 들면 이런거에요.

  • sit 과 site  (씻 / 싸이트)
  • strip 과 stripe (스트립 / 스트롸입)
  • Pat 과 Pete (펫 / 피트) (사람 이름임)

오늘은 이것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이건 영어의 "magic E" (silent E) 규칙이라는 것입니다. 이걸 알면 단어 읽는 게 훨씬 쉬워져요. 

 

여행은 호텔스컴바인

 

 

Magic E (또는 Silent E) 규칙이란?

단어 끝에 e가 붙으면, 그 바로 앞의 모음 (a, e, i, o, u) 의 소리가 길어지는 (long vowel sound) 현상이 생겨요, 그 모음 고유의 소리가 길게 발음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마지막 e는 발음되지 않습니다.

비교 예시 (i가 포함된 경우)

단어 발음 의미
sit [sɪt] (이) 앉다
site [saɪt] (아이) 장소, 사이트
rid [rɪd] (이) 제거하다
ride [raɪd] (아이) 타다
strip [strɪp] (이) 벗기다
stripe [straɪp] (아이) 줄무늬

 

앞에서 말한 Pete vs. Pat도 같은 원리입니다:

  • Pat [pæt] → "애" 소리 (짧은 a)
  • Pete [piːt] → "이" 소리 (길어진 e)

 

여행은 호텔스컴바인

 

 

다른 모음도 적용 가능

이 규칙은 i뿐만 아니라 다른 모음에도 적용됩니다:


단어 발음 의미
hat [hæt] (애) 모자
hate [heɪt] (에이) 싫어하다
hop [hɒp] (오) 깡충 뛰다
hope [hoʊp] (오우) 희망
not [nɒt] (아) 아니다
note [noʊt] (오우) 노트

이런 식으로 마지막 e가 있으면 모음이 길어지고, 없으면 짧게 발음되는 패턴이 있어요.

 

예외도 있음!

영어에는 항상 예외가 있긴 한데, 이 규칙이 대부분의 경우에 적용돼서 단어 읽는 데 정말 유용해요.

 

 

호텔스컴바인 국내 호텔 예약

 

 

그래서, 

  • 단어 끝에 e가 있으면, 바로 앞의 모음이 원래 이름 소리(long vowel sound) 를 내면서 길어짐.
  • 마지막 e는 발음되지 않음(silent E).

 

모음별 변화 예시:

모음 e 없음 (짧은 소리) e 있음 (긴 소리)
a hat [hæt] (애) hate [heɪt] (에이)
e pet [pɛt] (에) Pete [piːt] (이)
i bit [bɪt] (이) bite [baɪt] (아이)
o hop [hɒp] (오) hope [hoʊp] (오우)
u cut [kʌt] (어) cute [kjuːt] (유)

이 규칙을 기억하면 처음 보는 단어도 발음 예측이 가능해져서 엄청 유용해요! 이제 발음이 훨씬 편해지겠죠?

 

같은 철자에 단 하나의 e 차이로 발음뿐만 아니라 뜻까지 완전히 달라지는 경우가 많아서 짜증이 확! 날 수도,, ㅎ. 

영어 배우는 사람들한테는 진짜 함정 같은 규칙이지만 이제 쉬운 지름길 하나를 찾은 겁니다. ^^ 

 

호텔스컴바인 해외 호텔 예약

 

 

단어들을 한번 볼까요? 예를 들면 이런 것들이 있겠네요:


짧은 모음 긴 모음 (magic e)
bit [bɪt] 조금, 조각 bite [baɪt] 물다
rip [rɪp] 찢다 ripe [raɪp] 익은
hop [hɒp] 깡충 뛰다 hope [hoʊp] 희망
cub [kʌb] (곰, 사자 등의) 새끼 cube [kjuːb] 정육면체
win [wɪn] 이기다 wine [waɪn] 와인
man [mæn] 남자 mane [meɪn] (사자나 말의) 갈기

이런 차이 때문에 단어를 볼 때 "e가 있는지 없는지" 신경 쓰는 습관을 들이면 좋아요. 그리고는 늘 그렇듯, 머리에 외우는 수고스러움이.................................. . 


영어가 참 골치 아픈 언어긴 하지만, 이런 패턴을 알게 되면 더 재미있어지기도 합니다. 이런 패턴의 단어들 더 보여 드릴까요? 참고 삼아 쓱~ 보시어요! 이걸 보면 짧은 모음과 긴 모음의 차이를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거에요. 이것 외에도 찾아 보면 더 있습니다.

Magic E 단어 쌍

짧은 모음 단어  긴 모음 단어
tap tape
hat hate
mad made
mat mate
rid ride
rod rode
hug huge
kit kite
cub cube
van vane
can cane
pin pine
fin fine
dot dote
not note
bit bite
dim dime
rip ripe
hop hope
win wine
man mane 

 

한가지 더 팁을 알려 드릴게요! 

사실 Magic E가 단어의 품사(포지션)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꽤 많습니다. 

일반적인 패턴을 보면:

  • E 없이 짧은 모음 → 동사로 많이 사용
  • E 있는 긴 모음 → 명사나 형용사로 많이 사용

Magic E가 품사에 영향을 미치는 예시

짧은 모음 단어 (주로 동사) 긴 모음 단어 (주로 명사/형용사)
tap (두드리다) tape (테이프)
rid (제거하다) ride (타다, 탈 것)
rip (찢다) ripe (익은, 성숙한)
hop (깡충 뛰다) hope (희망, 희망하다)
win (이기다) wine (와인)
hug (껴안다) huge (거대한)
dim (어두워지다) dime (10센트 동전)
van (선두에 서다, 이끌다) vane (풍향계)
man (일하다, 조작하다) mane (갈기)

 

패턴 정리

  •   짧은 모음 (E 없음) → 주로 동사
  •   긴 모음 (Magic E 있음) → 주로 명사 또는 형용사

물론 예외도 있지만, 이런 경향을 알면 단어의 의미뿐만 아니라 발음과 문장에서 쓰이는 위치도 예측하기 쉬워집니다. 

영어를 많이 접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이런 규칙이 보이는데, 이런 식으로 발음, 철자, 품사까지 연결해서 보면 단어를 외우기도 쉽고, 처음 보는 단어도 추측하기가 훨씬 편해집니다. 

이제 Magic E 패턴을 아니까, 앞으로 영어 읽을 때나 단어 뜻을 떠올릴 때 더 수월할 거에요.

예외적인 경우로는(물론 더 있음) breath (명사) vs. breathe (동사) 같은 경우는 Magic E 규칙과 살짝 다르게 작동합니다. 어쩔 수 없어요 머리에 집어 넣는 수 밖에. 저도 놓치는 경우가 허다 합니다. 

 

breath vs. breathe 차이

단어 품사 발음 의미
breath 명사 [brɛθ] (ㅔ 소리, 짧음) 숨, 호흡
breathe 동사 [briːð] (이 소리, 길음) 숨 쉬다

왜 예외일까?

보통 Magic E가 추가되면 같은 단어가 명사/형용사로 변하는 경우가 많은데, 여기서는 반대로 e가 붙으면서 동사가 됩니다. 또한 발음 차이도 있어요:

  • breath (브레스) → "에" 소리 + 무성한 [θ] (th 소리)
  • breathe (브리드) → "이" 소리 + 유성한 [ð] (th 소리)

이건 Magic E가 단순히 모음을 길게 만드는 것뿐만 아니라, 자음 발음까지 바꿔버리는 예외적인 케이스입니다. 

 

비슷한 예외 사례들

명사 (짧은 모음, 무성 th) 동사 (긴 모음, 유성 th)
breath (숨) breathe (숨 쉬다)
cloth (천) clothe (옷을 입히다)

이런 단어들은 일반적인 Magic E 패턴에서 벗어난 특수한 경우라서 따로 외우는 게 좋아요. 

 

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