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원론적인 설명이지만 기본적인 것이라 문맥을 잡는데 필요한 것 같아서 설명을 드리려고 해요.
뉴스 기사에서 자주 사용되는 문장 구조는 독자에게 명확하고 간결하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설계된 특징적인 패턴을 따릅니다. 이러한 구조를 분석하고 이해하면 독해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글쓰기나 말하기에도 얼마든지 응용할 수 있거든요. 아래는 뉴스에서 자주 사용되는 문장 구조와 이를 효과적으로 이해하는 방법을 설명 드릴까 해요.
1. 간결하고 직접적인 문장 구조
(1) 주어-동사-목적어(SVO) 구조
- 뉴스의 기본적인 문장 구조는 SVO 형태로 간결하게 작성됩니다.
- 예시:
- "The government announced new policies." 정부는 새로운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 분석:
- 주어(S): The government
- 동사(V): announced
- 목적어(O): new policies
- 예시:
- 특징:
- 핵심 정보를 빠르게 전달하기 위해 복잡한 부사나 형용사를 최소화.
2. 수동태(Passive Voice)
(1) 사용 이유
- 주체보다 행동 자체에 초점.
- 사건의 객관성을 강조하거나 주체가 명확하지 않을 때 사용.
(2) 예시와 분석
- "The bill was passed by the Senate." 그 법안은 상원에서 통과되었습니다./ 상원에서 그 법안이 통과되었다.
- 분석:
- 주어: The bill (행위의 대상)
- 동사: was passed (수동태)
- 행위자: by the Senate (선택적 정보)
- 분석:
- "A new vaccine was developed." 새로운 백신이 개발되었다.
- 주체(개발자)가 중요하지 않을 때 사용.
3. 인용문 사용(Direct and Indirect Speech)
(1) 직접 인용문
- 뉴스 기사에서 발언 내용을 정확히 전달하기 위해 사용.
- 예시:
- "The economy is improving," said the President. "경제가 개선되고 있다"고 대통령은 말했습니다.
- 분석:
- 직접 인용된 문장은 쉼표와 따옴표로 구분.
- 주절은 인용문의 출처와 발언자를 명시.
- 예시:
(2) 간접 인용문
- 발언 내용을 요약하거나 전달할 때 사용.
- 예시:
- The President said that the economy was improving. 대통령은 경제가 개선되고 있다고 말했다.
- 분석:
- "that"을 사용해 문장을 연결. 대통령이 어떤말을 했는지를 that으로 이어서 뒤에 말해주는거죠.
- 시제 변화에 주의(현재 → 과거).
- 예시:
4. 명사구(Noun Phrases)를 활용한 간결한 정보 전달
(1) 명사구의 중요성
- 뉴스에서는 정보를 간결하게 전달하기 위해 복잡한 내용을 명사구로 압축.
- 예시:
- "The recent increase in inflation rates has raised concerns." "최근 인플레이션율 상승으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 분석:
- 주어 부분: The recent increase in inflation rates (명사구).
- 핵심: 주요 정보가 주어 안에 포함.
- 예시:
5. 분사구문(Participial Phrases)
(1) 활용 이유
- 두 사건을 간결하게 연결.
- 추가 정보를 덧붙이는 역할.
(2) 예시와 분석
- "Facing severe criticism, the minister resigned." 엄청난 비난을 받자 해당 장관은 사임했다.
- 분석:
- 분사구문: Facing severe criticism (부가 정보).
- 주절: the minister resigned.
- 분석:
- "The company announced new policies, aiming to boost productivity." 회사는 생산성 향상을 목표로 새로운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 분석:
- 분사구문: aiming to boost productivity (의도를 나타냄).
- 분석:
6. 관계절(Relative Clauses)
(1) 사용 이유
- 핵심 정보를 보충 설명.
(2) 예시와 분석
- "The city, which was heavily affected by the storm, is recovering." "폭풍으로 큰 피해를 입은 도시가 회복되고 있습니다.
- 분석:
- 관계절: which was heavily affected by the storm.
- 주절: The city is recovering.
- 분석:
- "The report highlights challenges that need immediate attention." "그 보고서는 즉각적인 주의가 필요함을 강조합니다."
- 관계절: that need immediate attention.
7. 대조 및 비교 구조
(1) 사용 이유
- 사건이나 데이터를 비교하거나 대조할 때.
(2) 예시와 분석
- "While the economy grew in the first quarter, unemployment rates remained high." 1분기 경제는 성장했지만 실업률은 여전히 높았습니다.
- 분석:
- 접속사 "While"로 대조적인 두 사건 연결.
- 구조: [경제 성장]과 [실업률 지속]을 병렬적으로 비교.
- 분석:
- "The new policy is more effective than the previous one." 새로운 정책은 이전 정책보다 더 효과적이다.
- 비교급 구조: more effective than.
8. 숫자와 데이터 강조 구조
(1) 숫자 강조
- 데이터와 통계 정보를 명확히 전달하기 위한 구조.
- 예시:
- "Inflation rose by 3% last year, reaching a 10-year high." 작년에 인플레이션이 3% 상승해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 분석:
- 주요 데이터: "3%"와 "10-year high"가 핵심 정보.
- 예시:
(2) 표현 방식
- "By contrast, unemployment dropped to 4%." 대조적으로, 실업률은 4%로 떨어졌습니다.
- 대조 표현으로 데이터를 비교.
9. 조건문(Conditionals)
(1) 사용 이유
- 미래 가능성이나 가정된 상황을 설명.
(2) 예시와 분석
- "If the policy is implemented, it could reduce emissions significantly." 이 정책이 시행되면 배출량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 분석:
- 조건문: If the policy is implemented.
- 결과: it could reduce emissions significantly.
- 분석:
10. 원인과 결과 표현(Cause and Effect)
(1) 사용 이유
- 사건의 원인과 결과를 명확히 연결.
(2) 예시와 분석
- "Due to heavy rainfall, several areas were flooded." 폭우로 인해 여러 지역이 침수되었습니다.
- 분석:
- 원인: Due to heavy rainfall.
- 결과: several areas were flooded.
- 분석:
- "The government raised taxes to combat rising deficits." 정부는 증가하는 적자를 해소하기 위해 세금을 인상했습니다.
- 원인과 목적: to combat rising deficits.
11. 강조 구조
(1) 도치(Inversion)
- 강조를 위해 문장의 어순을 변경.
- 예시:
- "Never before have we seen such a rapid change." 우리는 이전에 이렇게 빠른 변화를 본 적이 없습니다.
- 분석:
- 도치 구조: "Never before"가 문두로 이동.
- 예시:
(2) 강조 구문(It is/was... that)
- 특정 정보를 강조.
- 예시:
- "It is climate change that poses the greatest threat." 가장 큰 위협은 기후 변화입니다.
- 분석:
- 강조 대상: climate change.
- 예시:
어떠세요? 흔하게 일상적으로 쓰는 말들은 확실히 아니지요? 딱 기사문 답습니다. 그렇지만 위의 문장 구조들은 뉴스에서 자주 등장하며, 이를 분석하고 익히는 것은 영어 독해와 작문 실력을 향상시키는 데 매우 유용하고 더불어 우리말에서도 시사적인 어휘력이 늘어간다는것도 장점이에요.
그리고 영어 뉴스를 읽을 때 각 구조의 목적과 사용 맥락을 이해하려고 노력하심도 잊지 마시구요!
단시간에 되지는 않습니다만 분명히 익숙해 지실꺼라 확신합니다. 아시죠? 문제는 시간 투입량 입니다. 화이팅!!
반응형
'오늘의 영자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뉴스를 효과적으로 읽는 법 (3) | 2025.01.13 |
---|---|
리딩, 리스닝 문제 풀이 실력 향상 팁 (0) | 2025.01.13 |
영어 뉴스를 활용한 토플, 아이엘츠 준비 방법 (0) | 2025.01.13 |
자막 활용 학습의 단계별 접근법 알아보기 (1) | 2025.01.13 |
팟캐스트, 유튜브 채널, 뉴스 앱 등을 통해 영어 공부를 할 수 있는 방법 (0) | 2025.01.13 |
영어 뉴스 학습을 시작하기 좋은 사이트 추천 (0) | 2025.01.12 |
영어 뉴스를 통해 살펴본 서양 문화와 관점에 대한 짧은 견해 (1) | 2025.01.12 |
국제 정치 이슈를 다룬 주요 영자 신문과 사이트 추천 (0) | 2025.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