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포스팅은 일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일정액의 커미션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가자지구를 미국이 직접 관리하고, 거주하는 팔레스타인 주민들을 이집트와 요르단으로 이주시킨 후, 해당 지역을 지중해의 휴양지로 개발하는 구상을 발표해서 논란을 이르켰습니다.
이 분쟁 지역이 역사적으로 복잡하기로 유명합니다. 가자지구는 팔레스타인의 일부이지만, 현재는 하마스가 통치하면서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와도 분리된 상태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요약해 드리자면,
1. 가자지구(Gaza Strip)
- 가자지구는 팔레스타인의 일부지만, 현재 하마스(Hamas)라는 무장 정파가 통치하고 있음.
- 이스라엘과 이집트 사이에 위치하며, 크기는 서울보다 작지만 인구 밀도가 매우 높음.
- 2005년까지 이스라엘이 점령하고 있다가 철수했지만, 이후 이스라엘과 이집트가 가자지구를 봉쇄하면서 경제적·군사적으로 압박을 받고 있음.
- 하마스와 이스라엘 간의 전쟁이 반복되면서 큰 피해를 입고 있는 지역임.
2. 팔레스타인(Palestine)
- 팔레스타인은 지리적으로 이스라엘, 요르단, 레바논, 이집트 등과 접해 있는 지역인데,
- 현재 국제적으로 인정된 팔레스타인은 서안지구(West Bank)와 가자지구(Gaza Strip) 두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음.
- 하지만 완전한 독립국가가 아니라 부분적인 자치정부(팔레스타인 자치정부, PA)를 운영하는 상태임.
3. 팔레스타인과 가자지구의 관계
- 팔레스타인은 가자지구를 자국 영토로 간주하지만, 정치적으로 통합되지 못해있는 상태임.
- 서안지구(West Bank)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가 통치하지만, 가자지구는 하마스가 장악하고 있어서 내부적으로도 세력 갈등이 있는 곳임.
- 국제사회도 팔레스타인의 지위를 두고 이스라엘과 의견이 엇갈리고 있어서, 여전히 독립국가로 인정받지 못한 상태임.
참고로, 팔레스타인은 Palestine(팔레스타인)으로 나라 이름이고, 팔레스타인 사람은 Palestinian(팔레스티니언) 입니다.
아주 오래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원래 "팔레스타인 땅"이라고 불리던 이 영토는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여러 차례 정치적, 민족적 변화가 있었습니다. 현재의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지역은 한때 하나의 영토였으나, 다양한 역사적 사건들로 인해 지금은 갈등이 계속되고 있는 지역입니다.
현재 상황:
- 이스라엘: 1948년 이래로 존재해온 국가로, 유대인들이 주요 민족을 이루고 있습니다.
- 팔레스타인: 현재 팔레스타인 지역은 주로 서안 지구(West Bank)와 가자 지구(Gaza Strip)로 나뉘어 있습니다.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이 지역에서 거주하고 있으며, 이 지역을 국가로 인정받으려는 노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하얀색으로 된곳 중에 위쪽이 서안지구이고 그보다 아래의 서쪽 자그마한 것이 가자지구입니다 ( 초록색은 이스라엘이 차지하고 있는 부분임). 하마스 무장 세력이 차지하고 있는 곳이고요.
- 서안 지구(West Bank)는 이스라엘의 동쪽에 위치하며, 요르단 강을 경계로 하고 있습니다. 이 지역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가 분할 통치하는 지역으로, 팔레스타인인들이 주로 거주하고 있습니다.
- 가자 지구(Gaza Strip)는 이스라엘의 남쪽에 위치하며, 이집트와의 경계를 맞대고 있습니다. 가자 지구는 팔레스타인 무장단체인 하마스가 지배하고 있으며, 이 지역도 팔레스타인인들이 주로 살고 있습니다.
두 지역은 지리적으로 서로 멀리 떨어져 있고, 정치적, 사회적으로도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둘 다 팔레스타인 문제와 관련이 깊은 지역입니다.
그런데 희안한 점은 위치상 우리가 보는 서안 지구가 동쪽에 위치하는데 왜 서쪽(West)이라고 하는지 이상하지 않으세요? 이건 요르단 강을 기준으로 해서 그래요.
지구상에서 봤을때 서안지구는 서쪽에 위치해 있는데 왜 이스라엘의 동쪽에 위치했다고 하니 헷갈릴 수 있어요.
- "서안"은 "요르단 강의 서쪽"이라는 뜻에서 온 거예요.
- 이 지역은 요르단 강을 기준으로, 강의 서쪽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스라엘의 동쪽에 위치한다고 말하는 이유는, 이스라엘과 요르단 사이의 경계를 기준으로 설명했을 때, 서안 지구는 이스라엘의 동쪽에 있기 때문입니다. 즉, 이스라엘과 요르단 사이에 있는 지역을 가리킬 때 서안 지구라고 부르며, 이 위치가 이스라엘의 동쪽에 해당하는 거죠.
지리적으로 보면 서안 지구는 이스라엘의 동쪽에 있지만, 이름은 "서안"이라서 혼동이 될 수 있어요.
정리하자면:
- 서안 지구는 요르단 강의 서쪽에 위치하고 있고, 그 이름은 이 지역이 요르단 강 서쪽에 있기 때문에 붙여졌습니다.
- 이스라엘과 비교했을 때, 서안 지구는 이스라엘의 동쪽에 위치해 있다는 거죠.
그러면 요르단 강의 동쪽과 서쪽의 기준이 궁금한데 이건 다른 포스팅에 정리해 놓을게요. 트럼프가 발언한 원문 기사와 하마스에 대해서도 빨리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래서 현재 2025년 2월 5일(우리나라시간기준), 어제 이스라엘 총리와의 만남과 기자회견에서 트럼프가 언급한 이 계획은 국제적으로 큰 논란을 일으켰고, 사우디아라비아는 주민의 이주와 영토 병합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백악관은 미국이 가자지구에 군을 파병할 계획이 없으며, 미국 납세자들이 재건 비용을 부담하지 않을 것이라고 해명했습니다. 이 구상은 국제법 위반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팔레스타인 주민들에게 인권 침해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계획은 중동 정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오늘의 영자신문 > 국제 정치 사회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가 가자지구를 중동의 '리비에라'로. 리비에라 뜻 (1) | 2025.02.07 |
---|---|
트럼프가 팔레스타인의 가자지구(Gaza Strip)를 휴양지로 개발한다고? #4 (2) | 2025.02.06 |
하마스는 어느나라를 말하는 거지? #3 (3) | 2025.02.06 |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은 무슨관계? 하마스는 왜? 가자지구는 어딜 말하는거지? #2 (feat. Bank의 어원, 원래 뜻) (2) | 2025.02.06 |
문장의 끝 단어에 '-s'는 어떤 경우? 해석이 왜 다른가 (0) | 2025.02.01 |
다보스 포럼 (Davos Forum) 이란 무슨뜻? 세계경제포럼(WEF) (1) | 2025.01.24 |
2025' 다보스 포럼 DAVOS FORUM : 트럼프 암호화폐 '크립토(Crypto)' 언급 (5) | 2025.01.24 |
전세계 유명 유튜버 '미스터비스트'가 '틱톡' 인수에 관심 보여 (1) | 2025.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