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영자신문/국제 정치 사회 이슈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은 무슨관계? 하마스는 왜? 가자지구는 어딜 말하는거지? #2 (feat. Bank의 어원, 원래 뜻)

polleng-st 2025. 2. 6. 15:38
반응형

[이 포스팅은 일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일정액의 커미션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역사적으로 복잡한 이 지역. 말하자면 같은 땅덩어리에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하마스, 가자지구가 다 있습니다. 이해하기 쉽게 하나하나 다 설명해 드릴게요. 

 

이팔

 

여기에 다같이 공존하고 있는데 세력 다툼이 있는 곳이에요. 이전 포스팅에서 설명 드렸듯이 지금은 초록색이 이스라엘이 차지한 부분이고 서쪽의 큰 하얀 부분은 팔레스타인의 서안지구, 동쪽의 가운데 쬐그만 하얀부분이 가자지구 입니다. 

 

아주 고대에는 저 땅덩어리가 모두 팔레스타인이었다고 볼 수 있어요 여러 종파가 있었지만요. 

 

이 지역은 고대부터 여러 민족들이 거주하고, 다양한 제국들이 지배했던 땅입니다. 현재의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지역은 한때 하나의 영토였으나, 다양한 역사적 사건들로 인해 지금은 갈등이 계속되고 있는 지역입니다.

 

 

 

 

역사적순으로 보면,  

  1. 고대 시대:
    • 고대에는 이 지역이 유대인들이 거주하던 ‘이스라엘 왕국’과 ‘유다 왕국’으로 나뉘었으며, 이후 다양한 제국들(로마 제국, 비잔틴 제국 등)이 이 지역을 지배했습니다.
  2. 이슬람의 확산:
    • 7세기 초, 이슬람 제국이 이 지역을 정복하며 팔레스타인이라는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이슬람 제국은 여러 세기 동안 이 지역을 지배했습니다.
  3. 오스만 제국:
    • 16세기부터 1차 세계대전까지 팔레스타인은 오스만 제국의 일부였으며, 이때까지 이 지역은 "팔레스타인"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졌습니다.
  4. 영국의 지배:
    • 1차 세계대전 후, 오스만 제국이 붕괴되면서 팔레스타인은 영국의 위임통치 아래 놓이게 됩니다. 이 시기에 유대인들의 이주가 증가하며 갈등이 심화되기 시작했습니다.
  5. 이스라엘 건국:
    • 1947년, 유엔은 팔레스타인 땅을 유대인 국가와 아랍 국가로 나누자는 결정을 내립니다. 유대인들은 이를 받아들이고, 1948년에 이스라엘을 독립 국가로 선언합니다. 그러나 아랍 국가들과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이를 반대하면서 전쟁이 일어났고, 이스라엘은 승리하면서 더 많은 땅을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하얀 부분이 팔레스타인 인데 위치에 따라 서안지구, 가자지구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왜 저 땅을 지리적으로 보면 동쪽에 있는데 서안 지구라고 할까요?

서안 지구 이스라엘의 동쪽에 있지만, 이름은 "서안(west)"이라서 혼동이 될 수 있어요. 이는 흔히 사용하는 지구본의 기준이 아닌 이스라엘요르단 사이의 경계를 기준으로 지역을 명칭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니까, 서안 지구가 "서쪽"에 위치한 건 맞아요. 그런데 "서안 지구(West Bank)"라는 이름은 지리적인 "서쪽"이 아니라, "요르단 강의 서쪽"을 의미하는 거에요. 

  • "서안"은 "요르단 강의 서쪽"이라는 뜻에서 온 거예요.
  • 이 지역은 요르단 강을 기준으로, 강의 서쪽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 서안 지구요르단 강의 서쪽에 위치하고 있고, 그 이름은 이 지역이 요르단 강 서쪽에 있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입니다.
  • 명칭때문에 지리상 헷갈릴 수 있는데, 서안 지구이스라엘의 동쪽에 위치해 있는게 맞습니다. 

 

그래서 현재 이곳의 상황은, 

  • 이스라엘: 1948년 이래로 존재해온 국가로, 유대인들이 주요 민족을 이루고 있습니다.
  • 팔레스타인: 현재 팔레스타인 지역은 주로 서안 지구(West Bank)와 가자 지구(Gaza Strip)로 나뉘어 있습니다.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이 지역에서 거주하고 있으며, 이 지역을 국가로 인정받으려는 노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그럼 왜 해당 나라로 칭하지 않고 '지구'로 표현하는지 명칭에 대해  

이 지역들이 아직 모든 국가들이 나라로 인정받은 곳이 아니라서 설명할때 분포된 지역에 따라 해당'지구'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물리적인 구역을 가리키는 것이에요. 

여기서 '지구'라는 말은 특정 지역이나 구역을 의미하는 행정적 구분을 나타내기 위함이고, 영어로는 "strip"이나 "territory" 같은 단어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 지역들이 독립된 국가가 아니라 일부는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일부는 이스라엘에 의해 통제되는 구역임을 단어에서도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지구'라는 말은 이 지역들을 구분하는 용어로 쓰이고, 그 안에서 일어나는 정치적, 군사적 상황을 설명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말씀드렸듯이, 팔레스타인 지역인 서안 지구(West Bank)와 가자 지구(Gaza Strip)는 현재 독립적인 국가로 인정받지 못한 상태입니다. 대신, 이들은 팔레스타인 지역 내에서 행정적 구역으로 분류되며, 그래서 그 구역들의 정치적 상황에 따라 각각 '지구'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것입니다.

  • 서안 지구(West Bank)는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가 일정 부분 통제하는 지역으로, 일부 지역은 이스라엘이 군사적으로 통제하고 있습니다.
  • 가자 지구(Gaza Strip)는 하마스라는 팔레스타인 무장 단체가 지배하는 지역으로, 이스라엘과의 갈등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구'라는 용어는 이 지역들이 국가로서 독립적인 주권을 인정받지 못한 상황에서, 정치적, 행정적으로 구분되는 지리적 단위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입니다. 이들은 여전히 팔레스타인 국가 건설을 목표로 하는 중요한 지역이지만, 현재는 국제적으로 독립 국가로 인정되지 않는 상태입니다. 

 

근데 왜 가자는 strip이라고 하고 서안 지구는 bank라는 단어를 쓰는지 아시나요?

그것은 바로 각 지역의 지리적 특징과 관련이 있습니다. 여러 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만, 주요 차이점은 지리적 위치, 정치적 통제역사적 배경 등이 있지만 지리적 요인, 즉 땅의 상태에서 온 명칭의 이유가 큽니다. 

 

1. 가자 지구 (Gaza Strip):

"Strip"은 보통 좁고 길쭉한 지역을 나타낼 때 사용되는 단어입니다. 가자 지구는 이스라엘과 이집트 사이에 위치한 좁고 긴 지형으로, 가로로 길쭉한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strip"이라는 표현이 사용된 것이고, 

2. 서안 지구 (West Bank):

"Bank"는 주로 '은행'의 뜻이 아닌, 강의 기슭이나 을 의미합니다. 서안 지구는 요르단 강서쪽 기슭에 위치하고 있어, 이 지역을 지칭할 때 "bank"라는 단어가 사용되었습니다. 요르단 강이 서안 지구와 동쪽의 요르단을 구분짓고 있기 때문에, 그 강의 "서안(西岸)"에 해당하는 지역을 표현하기 위해 "bank"라는 단어가 쓰였어요.

그래서, 

  • "Strip"은 가자 지구처럼 좁고 긴 지리적 형태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고,
  • "Bank"는 서안 지구처럼 강의 기슭에 위치한 지역을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두 단어는 각각 해당 지역의 물리적 특성을 반영하는 표현을 한 것입니다. 

 

 

 

 

 

그런데 bank의 어원을 아세요 혹시?? 

'bank'는 말씀드린데로 '은행'이라는 뜻도 있지만, 여기에서는 "강의 기슭"을 뜻하는 단어로 사용된 거예요. 일반적으로 'bank'는 "은행"이라는 뜻이 더 익숙하지만, 지리적 용어로는 "강변"이나 "기슭"을 의미할 때도 쓰입니다.

따라서 "서안 지구(West Bank)"에서 'bank'는 요르단 강의 서쪽 기슭에 위치한 지역을 뜻하는 거죠. 이 지역은 요르단 강의 서쪽에 있어 "서안"이라는 이름이 붙었고, 그에 따라 "bank"라는 단어가 사용되었습니다.

그래서 여기서는 "은행"과는 전혀 관련이 없어요! ^^ 

 

"bank"라는 단어는 원래 강변이나 기슭을 의미하는 뜻이 있었습니다. 이 의미는 고대 영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기슭" 또는 "둑"과 같은 지리적인 특성을 가리킬 때 사용되었습니다.

  • Bank: 고대 영어 "banc"에서 유래, "둑"이나 "기슭"을 의미함.

이 단어는 강이나 하천의 "기슭"이나 "기울어진 부분"을 가리킬 때 사용되며, 시간이 지나면서 "은행"이라는 의미도 생기게 되었습니다. 이 의미는 강의 "기슭"처럼 돈이 모여 있는 장소라는 개념으로 연결된 것이죠.

따라서 "bank"는 강의 기슭을 의미하는 고대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고, "은행"이라는 의미는 그 후에 발전한 것입니다.

 

언어에는 이렇게 재미있는 배경이 숨어 있는 경우가 많아서, 단어의 다른 의미를 알게 되면 더 흥미로워지고 기억에 오래 남아요. ^^ 

 

 

하마스는 아직 꺼내지도 않았는데 포스팅이 길어지네요. 시리즈로 가야할 것 같아요, 다음 포스팅에서 설명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