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영자신문/국제 정치 사회 이슈

문장의 끝 단어에 '-s'는 어떤 경우? 해석이 왜 다른가

polleng-st 2025. 2. 1. 13:30
반응형

 

s

 

 

혹시 이런거 궁금하신분 계실까요?

뭐냐면 content와 contents의 전달하는 뜻이 다르다는 거에요 's'차이로 말에요. 


이 두 단어는 단수형복수형의 차이로 사용되는 맥락이 다르죠. 

🔹 content (단수)

  • 의미: 내용, 주제, 함유물 등,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특정 주제내용을 지칭할 때는 일반적으로 단수형으로 사용됩니다.

 

  • "The content of the book is very interesting."
    (그 책의 내용은 매우 흥미롭다.)
  • "The website content is well-organized."
    (웹사이트의 내용은 잘 정리되어 있다.)
  • "This course focuses on the content of ancient history."
    (이 강의는 고대 역사에 대한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content는 보통 구체적인 항목이나 목록이 아닌, 무엇을 다루고 있는지에 대한 주제나 핵심을 의미합니다.

 


 

🔹 contents (복수)

  • 의미: 내용물, 목록, 구성 요소들 등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이는 구체적인 항목이나 목록, 세부 사항들을 지칭할 때 쓰입니다.

 

  • "The contents of the box were carefully arranged."
    (상자 속 내용물들은 신중하게 배열되었다.)
  • "Check the contents of the package before opening it."
    (열기 전에 그 소포의 내용물을 확인해라.)
  • "The contents of this report include analysis, results, and recommendations."
    (이 보고서의 내용물은 분석, 결과, 권고 사항을 포함하고 있다.)

contents는 일반적으로 물리적이거나 구체적인 항목들을 뜻하며, 여러 개의 항목이 있을 때 사용됩니다.

그래서 한국말로 해석하려면 뭘 말하려는지의 문맥에 따라 의미는 같지만 해석되어지는 한국말이 바뀌는 거에요. 영어가 한국말과 딱떨어져서 매칭되는게 아니라서 저도 의미적으로만 기억하는 버릇을 들이다보니 옆사람에게 설명을 못해주는 오류가 생기는 거에요 ㅋㅋㅋ 한국말이 둥둥 떠다니며 버벅거려서 "너 영어 할 줄 아는거 맞아?"라며 쿠사리...  

그래서 저는 영어를 우리말로의 훈련을 안하다보니 영자신문으로 그 훈련을 하는 중이에요. 저 개인 혼자만 이해하고 넘어가는 것 말고요. 그렇다고 영어를 잘한다는 말은 아니에요 ㅋ. 

 


 

차이점 요약

  • content단수형으로, 주제핵심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 contents복수형으로, 구체적인 항목들이나 내용물을 지칭할 때 사용됩니다.

 


 

이렇게 ‘s’가 붙으면 복수형으로 바뀌며, 의미가 좀 더 구체적이고 항목을 나열하는 느낌이 듭니다. 예를 들어, ‘book content’는 책의 내용이지만, ‘book contents’는 책 속에 포함된 여러 항목들을 의미하죠!

 

 

🔹 왜 "-s"가 붙는 걸까?

복수형이라 그런거에요. "-s"는 복수형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규칙을 따르는 것입니다. "-tion"으로 끝나는 단어들은 대개 추상적이고 집합적인 의미를 가질 때가 많습니다. 그래서 여러 가지 개념이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복수형으로 사용되면서 "-s"를 붙이게 되는 거죠.

간단히 말해서, "-tion"으로 끝나는 명사들이 복수형으로 쓰일 때 "-s"가 붙는 경우는 "-tion"으로 끝나는 단어들이 일반적으로 복수형으로 사용될 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그 외의 명사들도 마찬가지로 복수형임을 뜻합니다. 

 

 

🔹 -tion으로 끝나는 명사의 복수형

일반적으로 "-tion"으로 끝나는 단어들은 추상적인 개념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이들 명사는 복수형을 만들기 위해 "-s"를 붙입니다. 그 "-s"는 복수형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러 가지 상태나 개념, 행위 등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예시:

  • nation  nations (국가들)
  • action  actions (행동들)
  • situation  situations (상황들)
  • education  educations (교육들)
  • organization  organizations (조직들)

이렇게 "-tion"으로 끝나는 명사들이 복수형이 될 때, "-s"가 붙어서 여러 개의 개념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복수형으로 변합니다.

 

🔹 예시 문장들:

  • "The actions of the committee were carefully planned."
    (그 위원회의 행동들은 신중하게 계획되었다.)
  • "Many nations have signed the agreement."
    (많은 국가들이 그 협정에 서명했다.)
  • "The situations faced by the team were very challenging."
    (그 팀이 직면한 상황들은 매우 도전적이었다.)

 


🔥 정리

  • "-tion"으로 끝나는 단어들 뿐만 아니라 명사들이 복수형이 될 때 "-s"가 붙습니다.
  • 이때 "-s"는 복수형을 나타내며, 여러 개의 추상적인 개념이나 상태, 행위들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다시 말씀 드리자면, 

1. Many nations have signed the agreement.

  • 여기서 "agreement"는 단수형이기 때문에, 하나의 협정을 의미합니다.
  • 그래서 문장은 "많은 국가들이 그 협정에 서명했다"는 뜻이 됩니다. 즉, 하나의 협정에 서명한 여러 국가들에 대한 이야기죠.

2. Many nations have signed the agreements.

  • 반면, "agreements"는 복수형이기 때문에, 여러 개의 협정을 의미합니다.
  • 이 문장은 "많은 국가들이 그 협정들에 서명했다"는 뜻으로, 여러 협정이 있다는 걸 강조하는 의미가 됩니다.

 

🔥 차이점 요약

  • 단수형: 하나의 협정에 대해 이야기함.
  • 복수형: 여러 개의 협정에 대해 이야기함.

이처럼 복수형 "-s"는 여러 개의 개념이나 대상을 나타내고자 할 때 사용되며, 그에 따라 문장의 의미도 달라집니다!

 

 

여러가지 상황들을 말하고자 할 때는 situations 이고, 그 한 가지 상황만 얘기하고 싶을 때는 situation(단수)이 맞습니다.
 

 

1. situation (단수형)

  • 하나의 상황을 말할 때는 단수형인 "situation"을 사용합니다.
  • 예시:
    "This is a difficult situation."
    (이것은 어려운 상황이다.)
     하나의 상황에 대해 이야기하는 문장입니다.

2. situations (복수형)

  • 여러 개의 상황을 말할 때는 복수형인 "situations"을 사용합니다.
  • 예시:
    "They faced many different situations."
    (그들은 다양한 상황들에 직면했다.)
     여러 개의 상황에 대해 이야기하는 문장입니다.

 

 

상대방이 말할 때도 동일하게 이해하면 돼요!

  • 단수형: 하나의 상황에 대해 말하는 거고
  • 복수형: 여러 개의 상황에 대해 말하는 거죠.

따라서 상대방이 말할 때도 이 규칙을 그대로 적용하면 됩니다!

 

 

영어에서 단어 끝에 's'가 붙는 경우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대체로 복수형, 소유격, 단어의 변화 등에서 나타납니다. 이번에 's'가 붙는 주요 경우들을 정리해서 알려드릴게요! 우리가 교과서에서 배운 그대로라는걸 말씀드립니다. 거의 대부분이 동사나 명사에 's'가 붙는데, 동사에 붙는 's'는 3인칭 단수형이라서 문법 형식을 맞추느라 그렇고, 명사에 's'가 붙는 것은 복수형으로 한 개 이상일 때 라서 그런겁니다. 

그 외에는 소유격이라서 's 라고 표시해서 티가 나니 알겠고, is, has의 줄임말 이기도 합니다. "He/She is", "He/She has".

 

🔹 1. 명사의 복수형

영어에서 명사의 복수형을 만들 때 -s가 붙습니다. 복수형은 하나 이상의 것들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예시:

  • bookbooks (책들)
  • dogdogs (개들)
  • childchildren (아이들)
    (※ 하지만 일부 단어는 불규칙하게 변형되기도 해요.)

🔹 2. 소유격

명사가 무엇인가를 소유하고 있음을 나타낼 때도 '-s'가 붙습니다. 이 경우 소유자의 이름 뒤에 's를 붙여서 표현합니다.

예시:

  • John's book (존의 책)
  • Sarah's car (사라의 차)
  • the dog's bone (그 개의 뼈)
  • the teacher's desk (선생님의 책상)

단, 만약 명사가 복수형으로 끝나면 's' 대신 '만 붙습니다:

  • the dogs' bones (그 개들의 뼈)
  • the teachers' desks (선생님들의 책상)

🔹 3. 동사의 3인칭 단수형 (현재시제)

현재시제에서 주어가 3인칭 단수일 경우, 동사 끝에 's'가 붙습니다.

예시:

  • He plays (그는 논다)
  • She eats (그녀는 먹는다)
  • The cat runs (그 고양이는 달린다)

🔹 4. 's'로 끝나는 단어

일부 단어는 본래 끝에 's'가 붙은 형태로 존재합니다. 이 경우 's'는 복수형이나 소유격의 의미가 아니라 단어 자체의 일부입니다.

예시:

  • busbuses (버스들)
  • classclasses (수업들)
  • glassglasses (유리잔들)
  • taxtaxes (세금들)

🔹 5. 줄임말에서 's'

일부 줄임말에서는 끝에 's'를 붙여서 소유격이나 복수형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예시:

  • TV's (텔레비전의, 텔레비전들)
  • CD's (CD들의)

단, 줄임말의 복수형에 대해선 논란이 있는 경우가 있으니, 's'를 붙일 때는 규칙을 잘 확인해야 합니다.


🔹 6. 일부 형용사의 비교급과 최상급

형용사의 비교급과 최상급에서는 -er-est가 붙기도 하지만, -s가 붙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시:

  • wisewiser (지혜로운 → 더 지혜로운)
  • largelarger (큰 → 더 큰)

🔥 정리

  • 명사복수형: book → books
  • 소유격: John's book → 존의 책
  • 동사의 3인칭 단수형: He eats → 그는 먹는다
  • 단어 끝에 본래 's'가 있는 경우: bus → buses
  • 줄임말에서 소유격/복수형: TV's → 텔레비전의
  • 비교급과 최상급: large → larger

 

포스팅이 길었는데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리고 화이팅!!!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