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포스팅은 일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일정액의 커미션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문장 부호 중 ;과 :의 차이는 뭐고, 뭘 뜻하는거고, 어떻게 사용할까요?
일상적으로는 잘 사용하진 않지만 책이나 기사를 읽을 때 보면 문장에 이런것들이 종종 나오는데 어떨때 쓰고 왜 이렇게 쓰는지 궁금하신 적 있으신가요? 특히 저 두 개는 우리나라에서는 굳이 쓸일이 없는 익숙한 표현이 아니라 '뭐지???' 할때가 있어요. 의미를 정확히 알고 가시면 궁금이 풀리겠죠?
문장 부호 (Punctuation marks)
- 문장에서 쓰이는 기호들을 뜻합니다.
- 예: , (쉼표), . (마침표), ; (세미콜론), : (콜론), ? (물음표), ! (느낌표) 등이 있어요.
;(세미콜론)과 :(콜론)은 둘 다 문장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지만, 사용 목적이 다르다는 게 핵심입니다. 간단히 정리해볼게요.
🔹 1. ; (세미콜론) – 독립적인 두 문장을 연결
두 개의 완전한 문장(독립절)을 연결할 때 사용합니다. 접속사 없이 문장을 부드럽게 연결하죠.
✔ 예제
- I was tired; I went to bed early.
→ 두 문장이 각각 독립적으로 성립하지만, 관련이 있어서 ;로 연결 - She loves reading; her favorite book is "Pride and Prejudice."
→ "그녀는 독서를 좋아한다" + "그녀의 최애 책은 오만과 편견이다" → 두 문장이 연결된 느낌
🔸 2. : (콜론) – 설명, 강조, 목록을 제시할 때 사용
설명을 덧붙일 때, 강조할 때, 목록을 소개할 때 사용합니다.
✔ 예제
- There is one thing I love the most: books.
→ "내가 가장 사랑하는 한 가지가 있다" + "그것은 책이다" → : 뒤에서 핵심 내용을 강조 - I bought three things: apples, bananas, and oranges. → : 뒤에 목록이 나옴
✔ 설명을 추가하는 경우
- He had one goal: to win the championship.
→ "그의 목표는 단 하나다" → "그것은 우승하는 것이다" - She only cares about one thing: success. → : 뒤에 핵심 내용을 설명

한눈에 비교 정리!
사용 목적 | ; (세미콜론) | : (콜론) |
독립적인 문장 연결 | ✅ She was hungry; she made a sandwich. | ❌ |
설명 추가 | ❌ | ✅ She has one goal: success. |
강조 | ❌ | ✅ There's only one thing that matters: happiness. |
목록 소개 | ❌ | ✅ I need three things: water, food, and sleep. |
정리하면,
- ; → 문장과 문장을 부드럽게 연결할 때,
- : → 설명, 강조, 또는 목록을 소개할 때 사용합니다.

만약 위 표의 : (콜론)의 예시 문장에서 ;(세미콜론)을 쓰면 문장이 어색해지거나 의미가 다르게 전달될 수 있어요. 하나씩 살펴볼게요.
She has one goal; success. ❌ 어색함. 왜 ;가 어색할까?
- :는 "설명" 역할 → "그녀의 목표는 하나다" → "그것은 성공이다" (목표를 설명)
- ;는 "독립적인 두 문장을 연결"하는 역할 → "그녀는 목표가 하나 있다" + "성공이다" (하지만 success는 독립절이 아니라서 문장으로 성립 안 됨)
- 따라서 ;를 쓰면 어색하고 :써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There's only one thing that matters; happiness. ❌ 어색함. 왜 ;가 안 맞을까?
- happiness는 완전한 문장이 아니고, 앞 문장의 "설명" 역할을 하는 것이어서,
- ;를 쓰면 "행복"이라는 단어가 문법적으로 독립된 문장이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아서 문장이 붕 뜨는 느낌입니다.
I need three things; water, food, and sleep. ❌ 완전 이상함. 왜 ;가 아예 틀릴까?
- ;는 보통 두 개의 독립된 문장을 연결하는데, "water, food, and sleep"은 독립적인 문장이 아닙니다.
- "세 가지가 필요하다" → "그것은 물, 음식, 잠이다" → :로 목록을 소개해야 자연스럽습니다.
다시 한 번 정리하면,
- : → 설명하거나 강조할 때,
- ; → 독립된 문장끼리 연결할 때 씁니다.


✔ 연습 문제 몇 개 해볼까요?
아래 문장에서 ;와 : 중 어떤 게 맞을까?
- I have three favorite hobbies ___ reading, hiking, and cooking.
- It was getting late ___ I decided to go home.
- There's one thing I can't tolerate ___ dishonesty.
- She loves coffee ___ however, she avoids drinking it at night.
어떤 게 ;고, 어떤 게 :일까요???
정답은,
- :
- ;
- :
- ; 입니다.
✔ 1. : → 목록을 소개하는 경우
- I have three favorite hobbies: reading, hiking, and cooking.
✔ 2. ; → 독립된 두 문장을 연결
- It was getting late; I decided to go home.
✔ 3. : → 설명을 추가하는 경우
- There's one thing I can't tolerate: dishonesty.
✔ 4. ; → however 같은 접속부사와 함께 사용
- She loves coffee; however, she avoids drinking it at night.
이제 ;와 : 마스터 하신 거에요!
개념이 안잡히더라도 자꾸 보면 익숙해 지니 걱정하지 마세요. 우리나라에서는 쓰지 않는거라 익숙하지 않은게 당연해요. 저도 익숙해질 때까지 계속 찾아보고 들여다 보고 그렇게 합니다.
영어권에서는 글 쓸 때 세련된 느낌 내고 싶으면 :로 강조하거나 ;로 문장 연결해 쓰면 세련된 느낌을 준다고 해요. 이제 글을 보면 훨씬 자연스럽게 문장을 이해 할 수 있을 거에요.
참, '문장 기호'라는 용어는 공식적으로 잘 쓰이지 않고, '문장 부호'가 맞는 표현이에요!
🚫 '문장 기호'라는 말은 국립국어원에서도 공식 용어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대부분 사람들이 문장 부호를 가리킬 때 잘못 말하는 표현이거나, 단순히 "기호"라는 일반적인 개념으로 착각해서 쓰는 말일 가능성이 있지만 정확한 용어는 "문장 부호" 입니다.
그런데 접속사를 써서 문장을 이어가도 되는데 굳이 ;(세미콜론)과 :(콜론)을 사용해서 글을 쓰는 이유는 뭘까요?
1. ;와 :는 글을 더 간결하고 세련되게 만들어 줘서 입니다.
접속사(and, but, because, so, however, therefore 등)를 쓰면 문장이 길어질 수 있는데 ;나 :를 사용하면 문장을 짧고 명확하게 만들 수 있어서 입니다.
예제 1 (접속사 사용)
She was exhausted, so she went to bed early. ( 일상적일 때나, 일반적인 대화에서 일때)
✔ She was exhausted; she went to bed early. (책, 기사, 논문, 공식적인 글에서 주로 사용)
so 없이도 문맥이 자연스럽다면 ;를 써서 더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어요. 이거나 그거나 별 차이를 못느끼겠지만 서양인들은 문장을 간결하게 만드는 걸 좋아하고 세련됬다고 여깁니다.
예제 2 (설명 강조)
There's one thing I love the most, and that is books.
✔ There's one thing I love the most: books. ( :를 쓰면 더 짧고 임팩트 있게 전달할 수 있어요!)
2. ;와 :는 문장에 리듬을 더해 줍니다.
접속사를 사용하면 문장이 정형화되지만, ;나 :를 사용하면 글의 흐름(리듬)이 달라져서 좀 더 자연스럽고 문학적인 느낌이 나기 때문입니다.
예제
She didn't like the movie, but I thought it was great.
✔ She didn't like the movie; I thought it was great. ( ;를 쓰면 접속사(but) 없이도 두 문장이 더 균형 있게 연결됨)
예제
The solution is simple, and that is to work harder.
✔ The solution is simple: work harder. ( :를 쓰면 더 강조되는 느낌!)

3. ;와 :는 문장의 논리적 관계를 명확하게 보여줌
:는 설명이나 예시를 강조하는 데 쓰이고, ;는 서로 관련 있는 두 문장을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 예제 (논리 강조)
- He had one goal: to win the championship. (: → 뒤에 설명 추가)
- She wanted to study abroad; however, her parents disagreed. (; → however를 연결)
정리해 볼까요! 그래서 ;와 :를 쓰는 이유는?
문장을 더 간결하고 세련되게 만들 수 있음.
문장의 리듬을 조절하고 읽기 쉽게 만듦.
논리적인 관계를 더 명확하게 보여 줌.
일반적인 대화에서는 ;와 :를 거의 안 쓰고,
책, 기사, 논문, 공식적인 글에서 주로 사용됨.
그래서 접속사만 쓰는 것보다 ;와 :를 활용하면 글이 더 깔끔하고 고급스럽게 보일 수 있음!
왜 한국어에서는 이게 익숙하지 않을까?
- 한국어 문법에서는 굳이 ;와 :를 사용할 필요가 없음
- 한국어는 보통 접속사(그리고, 하지만, 그래서)나 조사(~은, ~는, ~가)를 활용해서 문장을 자연스럽게 연결함.
- 예를 들어, 영어에서 ;로 연결할 수 있는 문장도 한국어에서는 그냥 마침표로 나누거나 접속사를 쓰면 해결됨.
- 한국어 문장 부호는 .과 ,가 기본임
- 한국어 글에서는 보통 마침표(.)와 쉼표(,)를 많이 사용하고, ;나 :는 거의 쓰지 않음.
- 기사나 논문에서도 ;는 아예 안 쓰고, :도 표제어를 강조할 때 정도만 사용됨.

한국어랑 비교해볼까요!
✔ 영어 문장 (; 사용)
- She was tired; she went to bed early.
→ ;가 두 문장을 부드럽게 연결
✔ 한국어에서는?
- → "그녀는 피곤했다. 그래서 일찍 잠들었다." (마침표+접속사)
- → "그녀는 피곤했다; 그래서 일찍 잠들었다." ❌ (어색함)
✔ 영어 문장 (: 사용)
- There’s only one thing that matters: happiness.
→ :로 강조
✔ 한국어에서는?
- → "중요한 것은 단 하나다. 행복." (마침표 활용)
- → "중요한 것은 단 하나다: 행복." ❌ (거의 안 씀)
두 언어에서의 차이 결론!!
✔ 한국어에서는 ;와 :를 거의 쓰지 않고 마침표(.)와 접속사로 해결
✔ 영어에서는 글을 간결하고 세련되게 만들기 위해 ;와 :를 자주 사용
✔ 대화할 때는 잘 안 쓰고, 책/기사/논문에서 많이 사용됨
그러니까 개념이 익숙하지 않은 게 당연합니다!
하지만 이제 감을 잡았으니까 영어 글을 읽을 때도 더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을 거에요!
끝!
'뉘앙스의 차이가 고급영어 스킬의 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매 갯수 제한 들어간 미국 계란 파동. 그런데 왜 dozen은 12개? 지금도 잘 쓰이는 'Dozen'의 유래 (0) | 2025.03.15 |
---|---|
약간 little, tiny, slight, subtle 얼마나 약간인데?? (0) | 2025.03.09 |
미국인들은 '뉘앙스'라고 하면 잘 모르던데?? (2) | 2025.03.08 |
's 와 s'의 표현 구분, 차이, 의미 구별 (2) | 2025.03.07 |
단어 강세에 따른 발음 변화, 뜻 찾는 꿀팁! (0) | 2025.03.05 |
문법 같은건 모르겠고, 단어의 위치 배열로 쉽게 문장 만들고 말하기 (0) | 2025.03.05 |
알파벳 e로 끝나는 단어 Magic E/Silent E 규칙 (feat. sit, site 등등등) (0) | 2025.03.04 |
영어의 기본 모음이 6개라고??? a,e,i,o,u 5개 아녔엇???!! (0) | 2025.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