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영자신문독학 6

's 와 s'의 표현 구분, 차이, 의미 구별

[이 포스팅은 일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일정액의 커미션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가끔 단어들을 보면 단어 끝에 소유격의 표현인 's가 있습니다. 그런데 s' 처럼 어퍼스트로피(Apostrophe, 높은 낱표)는 뭘까요??? 이건 둘다 소유격을 표현한건데 단어 때문에서의 구분 때문에 이렇게 표기한 거에요. 쉽게 설명 드릴게요.    s: 보통 명사의 복수형을 만들 때 사용되죠?예: cats (고양이들), books (책들)s'는 복수들의 소유격을 나타낼 때 이렇게 사용됩니다.  's: 소유격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는 것 알고 계실거에요. 예: John's book (존의 책), the dog's tail (그 개의 꼬리) 's와 s'의 차이's: 단수 명사의 소유격일때 사용되죠? 예: Alice'..

문법 같은건 모르겠고, 단어의 위치 배열로 쉽게 문장 만들고 말하기

[이 포스팅은 일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일정액의 커미션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한 단어가 형용사와 명사의 역할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단어가 많습니다. 이것을 문장에서 단어의 위치만 보고도 형용사로서 해석해야 하는지, 명사로서 봐야하는지, 개념만 잡아 놓으시면 금방 캐치해서 해석하기도 수월하고 말하는 것도 어렵지 않게 됩니다. 금방 해석하는 방법도 알려 드릴게요. 영어에는 하나의 단어가 명사와 형용사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경우가 많아서 문맥을 보고 판단해야 할 때가 많아요. 하지만 몇 가지 패턴과 힌트를 알면 해석이 훨씬 쉬워집니다.  1. 일반적인 명사 vs. 형용사 패턴  형용사로 쓰이면 주로 다른 명사를 수식  명사로 쓰이면 문장에서 주어/목적어 역할   예제 1: light (명사..

영어의 기본 모음이 6개라고??? a,e,i,o,u 5개 아녔엇???!!

[이 포스팅은 일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일정액의 커미션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영어에서 기본적인 모음(Vowels) 은 a, e, i, o, u 이렇게 5개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발음할 때는 이 5개뿐만 아니라 y도 때때로 모음 역할을 합니다.  1. 영어의 기본 모음 5개  a, e, i, o, u → 이 다섯 개는 항상 모음으로 사용됩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짧은 모음과 긴 모음의 발음을 어떻게 하는지 전해드릴게요.) cat, bet, sit, hot, cut (짧은 모음)cake, meet, site, note, cute (긴 모음) 2. y도 모음 역할을 할 수 있음!  y는 보통 자음이지만, 어떤 단어에서는 모음 역할을 합니다. happy, gym, cry, baby→..

confidence 자신감? 신뢰? 문장에 따른 해석 confidence 뜻

둘 다 맞아요. "confidence"가 때에 따라 "자신감"과 "신뢰" 둘 다 의미할 수 있어서 헷갈릴 수 있는데 문맥을 보며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구분할 수 있다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당연히 문장을 보고 얘기하는게 빠르겠죠? 기존에 쓰던 문장에서 이 단어가 있어서 같은 문장을 가져왔습니다.  He has had a major loss in confidence due to his win. (여기에서 'in'에 따라서도 의미가 좀 달라집니다. 뒤에서 설명 드릴게요) 일단 이 문장의 해석은 "그는 그의 승리로 인해 자신감이 크게 떨어졌다. " 입니다.   "confidence"의 두 가지 의미1️⃣ "자신감" (self-confidence, 자기 확신)사람이 스스로를 믿고 능력을 확신하는 것..

다보스 포럼 (Davos Forum) 이란 무슨뜻? 세계경제포럼(WEF)

다보스 포럼(Davos Forum)은 공식적으로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WEF)이라고 불리며, 세계 각국의 정치인이나 기업인, 학자, 시민단체나 언론인 등 다양한 분야의 저명한 인사들이 한자리에 모여 현행에 대한 것과 앞으로의 전망등 글로벌 이슈들을 논의하는 1년에 한번, 매년 1월에 하는 연례 회의입니다.스위스의 작은 휴양 도시인 다보스(Davos)라는 지역에 모여서 열리는 것이기 때문에 흔히 "다보스 포럼"이라고 불립니다. 골짜기가 흐르며 맑은 공기에 깨끗한 환경과 조용하고 쾌적한 곳이라 심심하지만 휴양하기엔 좋은 곳이라고 하네요. ㅎ  이는 1971년에 스위스 경제학자 클라우스 슈밥(Klaus Schwab)이 설립했으며, 주요 목표는 세계 경제와 정치의 지속 가능한 발전..

25' 2월 1일부터 캐나다·멕시코에 25% 관세부과: 'tariffs'

Trump administration will be impose 25% tariffs on Canada and Mexico on February 1st, an extraordinary change in North American trade policy that could raise prices for American consumers. -출처 로이터 트럼프 정부는 2025년 1월 20일,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수입되는 제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2월 1일부터 부과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는 미국 소비자의 가격이 인상될 수 있는 북미 무역 정책의 특별한 변화입니다.   Trump administration will be트럼프 정부는 할꺼다impose 25% tariffs on Canada and Mexi..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