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뉴스는 특정 주제와 사건을 설명하는 데 필수적인 고급 어휘와 표현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이를 이해하고 익히면 영어 실력 향상뿐만 아니라 정치적 맥락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정치 뉴스를 통해 배울 수 있는 필수 영어 표현과 그 활용 예시를 빈도수가 가장 많은 것들을 간략하게 소개해 드릴게요.
여기서 설명 드리는 것은 대표적인 예시이고 같은 뜻이지만 3~4가지로 약간 다른단어로 표현하기도 하는데 맥락은 같은 표현입니다. 글을 읽다보면 금방 캐치 하실 수 있으실 거에요.
1. 정치 시스템 및 정부 구조 관련 표현
(1) Branches of Government (정부의 3부)
- Executive Branch: 행정부
- 예: "The executive branch is responsible for enforcing laws." 행정부는 법을 집행할 책임이 있습니다.
- Legislative Branch: 입법부
- 예: "The legislative branch passed a new bill on healthcare reform."
- Judicial Branch: 사법부
- 예: "The judicial branch ruled the law unconstitutional." 입법부는 의료 개혁에 관한 새로운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2) Checks and Balances (견제와 균형)
- 의미: 정부 각 부문이 상호 견제와 균형을 유지하는 시스템.
- 예: "Checks and balances prevent any one branch from becoming too powerful." 견제와 균형은 어느 한 부문이 지나치게 강력해지는 것을 막아줍니다.
2. 선거 및 민주주의 관련 표현
(1) Election Process (선거 과정)
- Run for Office: 출마하다
- 예: "She decided to run for office in the upcoming election." 그녀는 다가오는 선거에 출마하기로 결정했습니다.
- Cast a Vote: 투표하다
- 예: "Millions of citizens cast their votes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수백만 명의 시민이 대통령 선거에 투표했습니다.
- Electoral College: 선거인단
- 예: "The president is elected by the Electoral College in the United States." 미국에서는 대통령은 선거인단에 의해 선출됩니다.
참고로,
미국은 선거인단을 선출하여 대통령과 부통령을 뽑는 미국의 선거 제도를 말합니다. 선거인단은 각 주별로 인구에 비례하여 선출되는데, 각 주의 상원 의원과 하원 의원을 합한 수와 같고 현재 미국의 선거인단은 총 538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선거인단은 간접 선거에서 유권자가 원하는 후보에게 투표하겠다는 약속을 하는 대리자들의 모임을 말하는데, 오늘날에는 민주주의가 자리 잡으면서 간접 선거가 줄어듦과 함께 선거인단도 많이 사라졌는데 선거인단 선출 방식이 민의를 왜곡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미국 대통령 선거의 선거인단처럼 선거인단 제도가 유지되는 선거들이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국민 경선제 이죠. 당원이 아닌 일반 국민이 정당의 당직자나 선출직 후보를 뽑는 선거인단에 참여하여 투표권을 행사하는 제도이고 전국 각지를 순회하면서 진행됩니다. (국민 경선제는 인구수가 가장 적은 지역부터 실시되기 때문에 가장 먼저 경선이 치러지는 지역은 제주도 입니다.)
(2) Types of Elections (선거 종류)
- General Election: 총선
- 예: "The general election determines the majority party in Parliament." 총선은 의회의 다수당을 결정합니다.
- Referendum: 국민투표
- 예: "The government held a referendum on constitutional changes." 정부는 헌법 개정에 대한 국민투표를 실시했습니다.
- held (hold) 개최하다
3. 법률 및 정책 관련 표현
(1) 법률 제정과 개정
- Pass a Bill: 법안을 통과시키다
- 예: "The Senate passed a bill to increase minimum wage." 상원은 최저임금을 인상하는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 Amend a Law: 법을 개정하다
- 예: "The law was amended to address environmental concerns." 이 법은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정되었습니다.
- amend 개정하다 | amendment 개정, 미국 헌법 수정 조항 | amends 보상, 배상
- address 다루다, 연설하다. 명사) 주소
※ address라는 표현이 (입법을) 다루다, 무슨.. 연설을 하다라는 표현으로 빈도수가 많습니다. 단순히 주소나 편지를 부치다로만 알고 있다가 해석에 적당한 단어가 도무지 떠오르지 않아서 헤맸었습니다. ㅎ;
(2) 정책 관련 표현
- Public Policy: 공공정책
- 예: "The government announced a public policy to improve healthcare access." 정부는 의료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공공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 Implement a Policy: 정책을 시행하다
- 예: "The new policy was implemented to reduce unemployment." 새로운 정책은 실업을 줄이기 위해 시행되었습니다.
4. 외교 및 국제 관계 표현
(1) 협상 및 조약
- Bilateral Agreement: 양자 협정
- 예: "The two countries signed a bilateral agreement on trade." 두 나라는 무역에 관한 양자 협정에 서명했다.
- Peace Talks: 평화 협상
- 예: "Peace talks resumed between the two nations after months of tension." 수개월간의 긴장 끝에 두 나라 간 평화 회담이 재개되었습니다.
※ resume [뤼줌:] 재개하다, 다시 시작하다라는 뜻이고,
참고로 스펠링은 같지만 이력서라고 말하고 싶을때는 [뤠쥬메이]라고 하시면 됩니다.
- Ratify a Treaty: 조약을 비준하다
- 예: "The treaty was ratified by the Senate last week." 이 조약은 지난주 상원에서 비준되었습니다.
(2) 외교적 관계
- Diplomatic Ties: 외교적 관계
- 예: "The nations established diplomatic ties to strengthen regional stability." 이들 국가는 지역의 안정을 강화하기 위해 외교 관계를 수립했습니다.
(ties: tie 묶다,끈, 넥타이의 복수형이며 명사로서 '유대 관계'로 해석하게 됩니다. 참고로 '연합'은 'unit'입니다.)
- Impose Sanctions: 제재를 부과하다
- 예: "The UN imposed sanctions on the country for violating international law." 유엔은 해당 국가가 국제법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제재를 부과했습니다.
(sanctions : 제재)
5. 정치적 논쟁 및 비판 표현
(1) Scandals and Corruption (스캔들 및 부패)
- Political Scandal: 정치 스캔들
- 예: "The political scandal led to the minister's resignation." 정치적 스캔들로 인해 장관이 사임하게 되었다.
- Allegations of Corruption: 부패 혐의
- 예: "He faced allegations of corruption during his tenure." 그는 재임 중에 부패 혐의에 직면했다.
(faced : 시사적인 표현으로 '직면하다'로 해석합니다. 수동태니까 '직면했다'.)
(2) Opposition and Debate (반대 및 논쟁)
- Opposition Party: 야당
- 예: "The opposition party criticized the government's handling of the crisis." 야당은 정부의 위기 대처 방식을 비판했다.
- Spark a Debate: 논쟁을 촉발하다
- 예: "The policy sparked a debate over its economic impact." 이 정책은 경제적 영향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습니다.
6. 정치 뉴스에서 자주 쓰이는 기타 표현
(1) 여론 및 대중 반응
- Public Opinion: 여론
- 예: "Public opinion shifted in favor of stricter gun control laws." "대중 여론은 보다 엄격한 총기 규제법을 지지하는 쪽으로 바뀌었습니다.
(shift : '옮기다, 변화, 교대 근무'라는 뜻입니다)
- Approval Rating: 지지율
- 예: "The president's approval rating dropped to an all-time low." 대통령의 지지율이 역대 최저치로 떨어졌습니다.
(approval : '인정, 찬성, 승인, 사용 구매'의 뜻입니다)
(2) 권력 및 리더십
- Come into Power: 권력을 잡다
- 예: "The new administration came into power after a landslide victory." 압승으로 새로운 행정부가 집권했습니다.
( landslide : 산사태, 압도적인 득표)
- Step Down: 사임하다
- 예: "The prime minister announced plans to step down next month." 총리는 다음 달에 사임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7. 국제기구 및 다자간 협력 표현
(1) 주요 국제기구
- United Nations (UN): 국제연합
- 예: "The United Nations held a summit to address climate change." 유엔은 기후 변화 문제를 다루기 위해 정상회담을 개최했습니다.
( summit : 정상회담, (산의) 정상, 산꼭대기; 절정, 정점)
- NATO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북대서양조약기구
- 예: "NATO members agreed to increase defense spending." NATO 회원국들은 국방비를 늘리기로 합의했습니다.
(2) 다자간 협력
- Multilateral Talks: 다자 회담
- 예: "Multilateral talks on nuclear disarmament began in Geneva." 제네바에서 핵 군축에 관한 다자간 회담이 시작되었습니다.
( 제네바 : 스위스 남서부에 위치한 제네바 주의 주도이며, 스위스 제2의 도시인데, 도시 규모는 작지만 제네바는 외교의 중심지이며 유엔 사무소와 국제적십자사·적신월사연맹 본부를 포함한 수많은 국제기구가 있는 세계적인 도시입니다. 특히 유엔 유럽본부(유엔 제네바 사무국), 유엔 인권최고대표 사무소(OHCHR: Office of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가 바로 제네바에 있습니다. 이 때문에 유엔을 비롯한 다자외교를 담당하는 대한민국 대표부도 제네바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 Global Summit: 세계 정상회의
-
- 예: "World leaders gathered for the annual global summit." 세계 지도자들이 매년 열리는 글로벌 정상회의에 모였습니다.
( together : 함께, 같이 | gather 모이다, 모으다)
8. 경제와 정치의 상관관계 표현
(1) 경제 정책
- Fiscal Policy: 재정 정책
- 예: "The government introduced fiscal policies to stimulate growth." 정부는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재정 정책을 도입했습니다.
- Austerity Measures: 긴축 조치
- 예: "Austerity measures were implemented to reduce national debt." 국가 부채를 줄이기 위해 긴축 조치가 시행되었습니다.
( austerity : 내핍 상태 | austerity plan 긴축 계획 | austerity budget 긴축 예산)
( 내핍 : 耐乏 물자가 없는 것을 참고 견딤 : 견딜 내, 모자랄 핍)
(2) 경제와 정치적 안정성
- Political Instability: 정치적 불안정
- 예: "Political instability deterred foreign investments in the region." 정치적 불안정으로 인해 이 지역에 대한 외국 투자가 억제되었습니다.
( deter [dɪˈtɜː(r)] /디.터:r/ : 단념시키다, 그만두게 하다 | deterred feeding 억제된 섭식)
- Economic Sanctions: 경제 제재
- 예: "Economic sanctions were imposed to pressure the regime." 경제 제재는 정권에 압력을 가하기 위해 부과되었습니다.
(impose 부과하다, 도입하다, 강요하다 | regime [reɪˈʒiːm] /뤠.지:임/ 정권, 제도, 체제)
9. 자주 사용되는 관용적 표현
(1) "Hold Office"
- 뜻: 공직을 맡다.
- 예: "She held office as the mayor for two terms." 그녀는 두 임기 동안 시장직을 맡았습니다.
(2) "Throw One’s Hat in the Ring"
- 뜻: 선거 출마를 선언하다.
- 예: "He threw his hat in the ring for the upcoming election." 그는 다가오는 선거에 출마를 선언했다.
(threw /뜨.루:우/ : throw '던지다'의 과거)
(have one's hat in the ring 참가할 뜻을 알리다, 입후보를 선언하다)
(meet in the ring 시합을 하다, 링에서 얼굴을 맞대다)
(throw/have one's hat in the ring 출전할 내색을 보이다, 출전하다, 출마를 선언하다)
(3) "Walk a Fine Line"
- 뜻: 어려운 균형을 유지하다.
- 예: "The leader walked a fine line between reform and tradition." 그 지도자는 개혁과 전통 사이에서 미묘한 균형을 유지했다.
이처럼 정치 뉴스에서 자주 사용하는 영어 표현을 이해하고 익히는 것은 정치적 맥락을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뉴스 기사를 읽으며 위의 표현을 직접 찾아보기도 하고, 문맥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캐주얼하게 썼던 단어인데도 시사적으로는 어떻게 해석되는지를 분석해보시다 보면 우리말 어휘도 덤으로 늘어납니다. 제가 우리말로 바꾸는데서 엄청 헤맷거든요, 평소에 쓰던 말들이 아니다 보니 아이러니 하게도 우리말이 더 어렵더라구요. 하하
첨엔 머리 아프실테니 한 문장만을 보시고 익숙해지시면 한 단락까지 나아가보세요. 익숙하지 않은 처음부터 진도 많이 빼시면 토나옵니다. ㅎㅎ
'오늘의 영자신문 > 국제 정치 사회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김정은 언급, How's Kim Jong Un doing? (1) | 2025.01.22 |
---|---|
트럼프의 '출생시민권'에 대한 명령: Trump's order on Birthright Citizenship (3) | 2025.01.22 |
트럼프 취임 첫날, 발동할 행정 명령들: 최대 1천만명 아웃? (1) | 2025.01.18 |
이스라엘과 하마스 휴전 협정 맺어 'ceasefire deal' (3) | 2025.01.16 |
2025년 1월 15일, 윤석열 체포 South Korean officials detain impeached President Yoon on second attempt (4) | 2025.01.15 |
2025. 1월 새해 L.A 대규모 'wildfire' 산불 화재 뉴스 (2) | 2025.01.14 |
경제 뉴스로 배우는 글로벌 시장 용어 (9) | 2025.01.14 |
뉴스에서 자주 나오는 필수 어휘와 표현. 정치, 경제, 환경 등 분야별 유용한 단어 리스트. (0) | 2025.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