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의 사용차이는 바로 '품사'에요!
due to는 전치사이고, because는 접속사라서 뒤에 오는 구조가 달라지는 거에요.
의미는 거의 같아요(뉘앙스는 굳이 따질 필요없이 같습니다.). 하지만 품사가 다르기 때문에 사용법이 다른겁니다.
의미상으로 보자면,
1️⃣ "due to" → 전치사 (preposition)
- 뒤에 명사(Noun)나 명사구(Noun phrase)가 와야 함
- "~ 때문에", "~로 인해"라는 뜻 (좀 더 격식 있는 느낌)
2️⃣ "because" → 접속사 (conjunction)
- 뒤에 *완전한 문장(S + V)*가 와야 함
- "~하기 때문에"라는 뜻 (일반적으로 더 자연스럽고 일상적인 느낌)
이 문장을 보다가 생각이 나서 적어서 올리게 됬어요.
He has had a major loss in confidence due to his win.
두 문장의 차이 (원래 예문을 비교해 보면)
He has had a major loss in confidence due to his win.
➡ (그는 그의 승리로 인해 자신감을 잃었다.)
➡ "his win" (명사구)이 뒤에 오기 때문에 "due to"가 적절함.
He has had a major loss in confidence because he won.
➡ (그는 그가 승리했기 때문에 자신감을 잃었다.)
➡ "he won" (S+V)이 뒤에 오기 때문에 "because"가 적절함.
★ 핵심 정리 ★
due to | because | |
품사 | 전치사 (preposition) | 접속사 (conjunction) |
뒤에 오는 것 | 명사(N) / 명사구(NP) | 절(S + V) |
문장 느낌 | 격식 있음, 공식적 표현 | 일상적, 설명적인 느낌 |
예문 | "The delay was due to bad weather." | "The flight was delayed because the weather was bad." |
간단한 구분법:
"due to" + 명사 (ex: due to bad weather)
"because" + 주어 + 동사 (ex: because it rained)
기억할 것은,
"due to"는 전치사, "because"는 접속사라서 뒤에 오는 구조가 달라지는 거라는 것.
이걸 알면 언제 어떤 걸 써야 할지 헷갈릴 일이 확 줄어들 겁니다.
- "due to" + 명사
- "because" + 주어 + 동사
이렇게 기억하면 문장을 만들 때나 해석할 때 훨씬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을 거에요!
예문을 더 넣을테니 참고해 보세요.
due to는 문장에서 원인을 나타내는 "명사" 앞에 오는 게 자연스럽습니다.
- His failure was due to a lack of effort. (그의 실패는 노력 부족 때문이었다.)
- The flight was delayed due to bad weather. (비행기는 악천후로 인해 지연되었다.)
- He has had a major loss in confidence due to his win. (그는 승리로 인해 자신감이 크게 줄었다.)
because는 뒤에 절(S+V)이 와야 하고, 이유를 좀 더 설명하는 느낌!
- He lost confidence because he won." (그는 승리했기 때문에 자신감을 잃었다.)
- "The flight was delayed because the weather was bad." (비행기는 날씨가 나빠서 지연되었다.)
- "He has had a major loss in confidence because he won." (그는 승리했기 때문에 자신감을 잃었다.)
이런 말을 예로 들자면,
보통 우리가 말할때 "비가 와서 밖에 못나가."라고 한다면, 이 말은 '비가 오기 때문에 밖에 못나간다."라는 말이 되죠.
그래서 영어로,
I can't go out, because of it's rainning. (비가 오고 있기 때문에 밖에 못나간다.) 라고 보통의 대화체로 아주 자연스럽습니다.
그런데, 이걸 due to로 말하고 싶으면,
I can't go out due to the rain. 이라고 말하면 되는거에요. 그렇지만 이말은 일반 대화체가 아니고 공식석상에서나 쓰는 말이기 때문에 좀 뭐랄까.... 보통의 대화에서는 좀 안어울리는?? 느낌??? 우리말로 해석하자면 "나 비로 인해서 못나가."라는 거라서요. 하지만 이런 화투로 말하는게 익숙한 사람은 이렇게 쓰기도 합니다. 생각해보면 저도 뭘 설명할 때 "~로 인해서 결과가 이렇게 됬다."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아! 왜 rainning이 아니라 rain이냐면, due to 다음에는 '명사, 명사절'이 오는거라고 했죠?
"rainning" ❌ → "rain" ⭕
- "rain"은 불가산 명사라서 그냥 "rain"을 써야 합니다.
- "raining"은 동사형(비가 오고 있는 상태)이라서 "due to" 뒤에 오면 어색해요.
"due to"는 원래 원인을 나타내는 표현이고, 명사와 함께 써야 합니다.
- "raining"은 동사이기 때문에 "due to"와 어울리지 않아요.
- "raining"은 명사가 아니라 동사(현재분사) 에요. 그래서 "due to" 같은 전치사 뒤에는 쓸 수 없어요.
✅ "rain" vs. "raining" 차이
- rain (불가산 명사) → "비"라는 개념 자체를 나타냄
- 예시: I love the sound of rain. (나는 비 소리를 좋아해.)
- 예시: Heavy rain is expected tomorrow. (내일 폭우가 예상돼.)
- raining (동사, 현재분사) → "비가 오는 중"이라는 동작을 나타냄
- 예시: It is raining outside. (밖에 비가 오고 있어.)
- 예시: I didn’t bring an umbrella because it was raining. (비가 오고 있어서 우산을 안 가져왔어.)
우리는 원어민이 아니기 때문에 아무리 해도 늘 부족한게 당연합니다. 해도 해도 끝이 없어요. 냅따 질러대면서 계속해서 수정해 가는게 맞는거에요! 우리 모두 수고하고 노력하는 본인에게 박수를! 짝짝짝!
'뉘앙스의 차이가 고급영어 스킬의 끝 > 단어의 미묘한 뉘앙스 차이-스피킹에서 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y longer 와 anymore 뉘앙스 차이 (2) | 2025.03.15 |
---|---|
like alike, sleep asleep, wake awake 의 차이, 쓰임 (뭐야 이건 ㅡㅡ,,,) (2) | 2025.02.28 |
외국인을 뜻하는 foreign과 alien의 차이 (2) | 2025.02.26 |
confidence 자신감? 신뢰? 문장에 따른 해석 confidence 뜻 (0) | 2025.02.17 |
have/has had의 뜻은 'ㅆ었어!' 있었어, 했었어, 보냈어 #1 (0) | 2025.02.17 |
보호하다 영어로 미묘한 뉘앙스 차이-고급영어 스킬 끝(reserve/preserve/conservation/sanctuary/refuge/shelter/haven/custody/guard/safeguard) (0) | 2025.02.07 |
명사와 동사. 반드시 구분해야 할 품사 차이로 달라지는 발음,뜻의 단어들: direct vs direct 외 두루두루 (7) | 2025.02.01 |
의외로 쓰기 어려워하는 전치사 to와 for (2) | 2025.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