뉘앙스의 차이가 고급영어 스킬의 끝/단어의 미묘한 뉘앙스 차이-스피킹에서 활용

have/has had의 뜻은 'ㅆ었어!' 있었어, 했었어, 보냈어 #1

polleng-st 2025. 2. 17. 20:29
반응형

 

 

(이 have가 한국말로 아주 변화 무쌍이어서 알아갈 수록 저를 혼란속으로 빠지게 합니다. 공부가 부족해서인지 해석에 적당한 말을 찾기가 힘듭니다.)

 

 

우리말로 '했었어, 있었어, ..등등등'. 이 'ㅆ었어'라는 말을 영어로 한다면 have had 를 쓰시면 거의 들어 맞습니다. 

 

have had

주어+have had이 무슨말이냐면,

"주어 + have had"는 현재완료형에서 "have"의 현재완료 형태를 쓴 표현입니다. 그래서 "have had"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가지고 있는 경험"이나 "겪어온 일"★을 말할 때 사용됩니다. 

 

  1. I have had this phone for two years.
    → 나는 이 핸드폰을 2년 동안 가지고 있어. (2년 전부터 지금까지 계속 가지고 있음)
  2. She has had a headache all day.
    → 그녀는 하루 종일 두통이 있었어. (아침부터 지금까지 계속 두통이 있음)
  3. We have had a great time at the party.
    → 우리 파티에서 정말 좋은 시간을 보냈어. (파티 내내 즐겁게 보냈고, 지금도 그 영향을 느끼는 중)

위 문장에서 have를 빼고 had만 쓴다면, 당연하겠지만 그냥 과거의 일이 됩니다. 

 

have had면 있었는데 지금은 없다는 말로 들릴 수도 있는데???라고 저처럼 생각이 드시는 분!!! 

좋은 질문 입니다! 한국말도 '아' 다르고 '어' 다르다고, 문맥에서 봐야 합니다. (단순한 문장도 의미를 깊게 파고들면 점점 늘어요~)

 

2번 문장으로 풀어 볼게요.

  She has had a headache all day.

를 보면, *현재완료형(have + 과거분사)*이지만 지금도 두통이 있을 가능성이 높아요. 왜냐하면, 

현재완료는 크게 4가지 의미(경험, 완료, 결과, 계속)로 쓰이는데, 여기서는 "계속(Continuation)"의 의미입니다. 즉, "하루 종일 두통이 있었고, 지금도 있을 가능성이 큼"을 뜻합니다. 

 

그래서:

  • "have had"는 *현재완료(have + 과거분사)*에서 "have"를 한 번 더 써야 할 때 나오는 구조입니다. 
  • "가지고 있는 상태"나 "겪은 경험"을 강조할 때 쓰입니다. 

 

현재완료가 "지금은 없는 상태"를 의미할 수도 있지 않나?

우리말로도 헷깔릴 수 있는 것처럼, 그럴 수도 있어요! 하지만 이건 문맥에 따라 달라집니다. 

  1. She has had a headache all day.
    → "하루 종일 두통이 있었고, 지금도 있을 가능성이 큼." (지속적인 상태)
  2. She has had a headache, but now she feels better.
    → "두통이 있었지만, 지금은 괜찮아." (완료된 상태)

즉, 현재완료(have had)가 "지금은 없을 수도 있고, 여전히 있을 수도 있음"을 의미하는데, "for + 시간 표현" (for a day, for two years 등)이 붙으면 all day 처럼 지금도 계속되고 있을 확률이 높은 겁니다. 

 

  ● 핵심 정리

  • "have had"는 문맥에 따라 "계속됨" 또는 "완료됨"으로 해석될 수 있음.
  • "for + 시간"이 들어가면 보통 지금도 계속됨을 의미!
  • 반대로 "but now ~" 같은 표현이 나오면 끝났다는 의미일 가능성이 큼.

 

have 때문에 아직도 두통이 있다는 건가?

네, 맞습니다! 문맥이라하면 뒤에 별다른 말이 없으니 아직도 두통이 있다는 겁니다. have가 가지고 있다는 뜻이니까요. 

현재완료형인 "She has had a headache all day."에서 "has"는 현재 시점과 연결되는 역할을 하는 겁니다. 
그래서, "두통이 과거부터 지금까지 계속 있었고, 지금도 있을 확률이 높음"을 의미합니다. 

 

왜 "아직도 두통이 있다"는 해석이 더 강할까?

현재완료는 "현재와 연결"된 시제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for + 시간 표현"이 있어서 "지속적인 상태"를 강조하는거죠.
별다른 설명이 없으면, 지금도 계속된다고 보는 게 자연스럽습니다. 

 

다시 말하자면, 

1️⃣ She has had a headache all day.
→ "하루 종일 두통이 있었고, 지금도 있을 가능성이 큼."

2️⃣ She has had a headache, but now she feels fine.
→ "두통이 있었지만, 지금은 괜찮아." (뒤에서 "지금은 괜찮다"고 했으니 끝난 상태)

 

즉, 현재완료형(have had) 자체가 "지금도 영향을 미치는 상태"를 기본적으로 의미하지만,
문맥에 따라 "이제는 끝났음"을 강조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만약 끝났다면 "but now~" 같은 추가 설명이 나와야 청취자가 제대로 화자의 뜻을 제대로 알아 들은거죠. (화자의 시점은 아주 주관적이기 때문에 청취자 보다 화자의 명확한 의사 전달이 정말 중요한것 같습니다.) 

 

그래서, 별다른 부연설명이 없다면 통상적으로 "아직도 두통이 있다"는 해석이 더 자연스럽습니다, all day라고 시간표현도 했으니까요. 

  • "has"가 현재와 연결됨 → 현재와 관련 있는 상태
  • "for + 시간 표현 (all day)"가 있음 → 지금까지 지속됨을 강조

따라서, "하루 종일 두통이 있었고, 지금도 있을 가능성이 높다"라고 이해하는 게 맞는 겁니다. 


👉 별다른 부연 설명 없이 "have had"가 나오면, 현재까지 영향을 주는 상태로 해석하는 게 자연스럽다!
👉 특히 "for + 기간"이 나오면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고 보는 게 맞다!

그러니까, **"She has had a headache all day."**라고 하면 **"아직도 두통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이해하면 돼!

"all day"가 이미 "지금까지 계속됨"을 포함하므로, 자연스럽게 현재도 두통이 있을 가능성이 높음.

 

 

그럼 '나는 하루 종일 두통이 있어'로 영어를 표현하고 싶다는 의문이?? 

좋은 질문입니다. "나는 하루 종일 두통이 있어."를 영어로 표현하면 "I have a headache all day."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지만, 이 문장은 자연스럽지 않습니다. 
우리말을 우리말로 풀이를 하자면, "나 두통이 있어, 하루 종일 이러네." 라고 하죠. 그래서 자연스러운 표현으로는, 

 

1️⃣ I've had a headache all day.
→ (현재완료) "하루 종일 두통이 있었어." → 지금도 두통이 있을 가능성이 큼

2️⃣ I have a headache. I've had it all day.
→ "나 지금 두통이 있어. 하루 종일 그랬어."
→ 현재형 "I have a headache"로 지금 두통이 있다는 걸 명확히 말하면서, 현재완료 "I've had it all day"로 하루 종일 지속됨을 말하게 되는 것입니다. 

 

👉 "I've had a headache all day."

  • 하루 종일 두통이 있었고, 지금도 있을 가능성이 큼
  • 현재완료라서 "과거부터 지금까지"를 포함한 느낌
  •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표현

👉 "I have a headache. I've had it all day."

  • 첫 문장에서 "지금 두통이 있다"고 명확히 말해줌
  • 두 번째 문장에서 "하루 종일 그랬다"는 걸 덧붙임
  • 조금 더 명확한 표현이지만, 길어질 수 있음

 

그래서 : 

"나는 하루 종일 두통이 있어"를 영어로 자연스럽게 말하려면
👉 "I've had a headache all day." (가장 일반적인 표현)
👉 또는 "I have a headache. I've had it all day." (조금 더 명확한 표현)

 

 
 
  영어권 사람들은 이 '가지고 있다'는 표현의 have가 본인들에게 굉장히 중요합니다. 내 감정, 마음, 물건, 사람, 경험, 일, 등등등 모든 것들이 나를 중심으로 내가 "가진거, 지니고 있는거"라고 표현합니다. 먹은거, 먹는거. 그래서 그 사람들의 성향을 알아가는데 이 단순한 단어만으로도 이해가 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동서양의 다른 관점을요. 그들은 언어에서 부터 그렇게 자라온 겁니다.
  참고로 먹은거는 had eat이고, 먹는거는 have eating, 먹고 있는거는 having a eat, 꾸준히 먹고 있는거는 have been eating... 말하자면 이런식 입니다. 

 

앗! 그래서 처음 보여드렸던 문장중 3번을 가지고 풀어보면, 

We have had a great time at the party.
→ 우리 파티에서 정말 좋은 시간을 보냈어. (파티 내내 즐겁게 보냈고, 지금도 그 영향을 느끼는 중을 표현하는거고)

 

We had a great time at the party. 라고 하면 

→ 우리 파티에서 정말 좋은 시간을 보냈어. (그때 파티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냈음. 그 파티 정말 재밌었음)

 

We have a great time at the party.라기 보다는, 

  1. 일반적인 사실을 말할 때:
    • "We have a great time at the party every year."
      (우리는 매년 그 파티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낸다.)
  2. 현재 진행 중인 상황을 강조할 때 (하지만 흔하지 않음):
    • (파티가 지금 한창 진행 중이고, 문자나 전화로 상황을 말하는 경우)
    • "We are having a great time at the party!"
      (우리는 지금 파티에서 즐겁게 놀고 있어!)

 

  어쨋든, 이처럼 영어에서는 시제가 미묘하게 다르지만, 자연스러운 표현을 익히면 훨씬 내가 말하고자 하는 의사전달이 잘 될꺼에요. 오늘 살펴본 내용이 정말 핵심적인 부분이라서, 이렇게 깊이 고민해보는 게 영어 실력 향상에 엄청 도움이 되실 거라 사료됩니다! ㅎ.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