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foreign vs. alien
이 두 단어는 모두 "외국의" 또는 "낯선"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뉘앙스에 차이가 있습니다.
1. Foreign
- 기본적으로 "외국의, 외국과 관련된"이라는 의미입니다.
- 주로 국적, 언어, 문화와 관련해서 쓰이고요,
- 낯선 것보다는 "단순히 다른 나라에서 온 것"이라는 중립적인 느낌입니다.
- 예시:
- foreign language (외국어)
- foreign policy (외교 정책)
- foreign cuisine (외국 요리)
2. Alien
- "외국의"라는 뜻도 있지만, 보통 "이질적인, 낯선, 익숙하지 않은"이라는 느낌이 더 강합니다.
- 법적인 맥락에서는 "외국인"을 뜻하기도 해서 공문서나 공식적인 용어로 쓰입니다. (예: illegal alien = 불법 체류자)
- 또한, SF(과학 소설)에서 "외계인"을 뜻하는 단어로 많이 쓰입니다.
- 예시:
- alien culture (이질적인 문화)
- alien environment (낯선 환경)
- an alien planet (외계 행성)
foreign은 단순히 다른 나라와 관련된 의미라면, alien은 이질적이거나 낯설고, 때때로 부정적인 느낌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foreign food라고 하면 그냥 외국에서 온 음식이지만, alien food라고 하면 "전혀 생소하고 이질적인 음식"이다 라는 뉘앙스로 들리기도 합니다.
alien은 특히 법률 및 공식적인 문서에서 "외국인"을 가리킬 때 자주 사용된다고 했습니다.
- 법적 용어
- 미국이나 다른 나라의 법률에서 alien은 "시민권을 가지지 않은 외국인"을 의미합니다.
- 예시:
- Resident Alien (거주 외국인) → 영주권을 가진 외국인
- Non-resident Alien (비거주 외국인) → 특정 국가에 거주하지 않는 외국인
- Illegal Alien (불법 체류 외국인) → 불법적으로 체류 중인 외국인
- 공식 문서 및 행정 용어
- 미국 이민국(USCIS) 같은 기관에서는 여전히 alien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만, 최근에는 좀 더 중립적인 표현인 foreign national(외국 국적자)로 대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하지만 공식 서류에서는 여전히 alien registration number(외국인 등록번호) 같은 용어를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 Foreign은 국적이나 문화적으로 "외국에서 온 것"을 의미하는 일반적인 단어.
- Alien은 특히 법률, 행정, 또는 공식적인 문맥에서 사용되며, "시민권이 없는 외국인"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음.
예를 들어, 미국에 거주하는 일본 국적자는 foreign national 또는 resident alien으로 불릴 수 있음. 둘 다 같은 뜻임.
반응형
'뉘앙스의 차이가 고급영어 스킬의 끝 > 단어의 미묘한 뉘앙스 차이-스피킹에서 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y longer 와 anymore 뉘앙스 차이 (2) | 2025.03.15 |
---|---|
like alike, sleep asleep, wake awake 의 차이, 쓰임 (뭐야 이건 ㅡㅡ,,,) (2) | 2025.02.28 |
confidence 자신감? 신뢰? 문장에 따른 해석 confidence 뜻 (0) | 2025.02.17 |
have/has had의 뜻은 'ㅆ었어!' 있었어, 했었어, 보냈어 #1 (0) | 2025.02.17 |
'due to'와 'because'의 의미 뉘앙스와 사용 차이 (0) | 2025.02.17 |
보호하다 영어로 미묘한 뉘앙스 차이-고급영어 스킬 끝(reserve/preserve/conservation/sanctuary/refuge/shelter/haven/custody/guard/safeguard) (0) | 2025.02.07 |
명사와 동사. 반드시 구분해야 할 품사 차이로 달라지는 발음,뜻의 단어들: direct vs direct 외 두루두루 (7) | 2025.02.01 |
의외로 쓰기 어려워하는 전치사 to와 for (2) | 2025.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