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계란 파동을 보다가 갑자기 'dozen'의 개념이 궁금했습니다.
📜 "Dozen(12개 단위)"의 유래와 배경
1. 12라는 숫자의 기원
- 바빌로니아 수 체계: 서양에서 10진법(Decimal system)이 보편화되기 전, 고대 바빌로니아인들은 60진법(Sexagesimal system)을 사용했습니다. 12는 60의 약수라서 계산이 편리했기 때문에 여러 문화에서 자연스럽게 중요한 숫자로 자리 잡았습니다.
특히나 고대 무역과 측량에서 12라는 숫자가 유용하게 활용되었습니다. 12는 2, 3, 4, 6으로 나누기가 쉬워 물건을 공평하게 나누거나 거래할 때 에누리 없이 딱 떨어지니까 사용하기 좋았던 거죠. 예를 들어, 빵이나 계란 같은 상품을 거래할 때 12개 단위로 묶어 판매하면 다양한 방식으로 나눌 수 있어 실용적이었습니다.
2. 서양에서의 사용
지금도 12개 단위인 "dozen"은 서양, 특히 유럽과 미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영국식 도량형과 전통적인 상업 시스템에서도 12는 익숙한 단위였으며, 미국에서도 여전히 일상적으로 쓰입니다. 예를 들어, 계란 한 판을 "a dozen eggs"라고 하거나 도넛 12개를 "a dozen donuts"라고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 'dozen'개념의 60진법이 나누기가 편하다 보니 널리 이용되며 보편이 된거죠.
12개의 도넛을 6명이 나누면 2개씩 몫이 돌아가고, 4명이면 3개씩, 3명이면 4개씩, 2명이면 6개씩, 5명이면.... 5명은 안되겠네요 ㅎㅎ;; 비율적으로 10진법 보다는 훨씬 유용했어요.
또한, 12라는 숫자는 여러 문화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어요. 1년이 12개월로 구성되어 있고, 시계에서 시간을 12개 단위로 나누며, 종교적·역사적 맥락에서도 12는 중요한 숫자로 여겨졌습니다. 이런 배경 속에서 "dozen"이라는 개념이 자연스럽게 자리 잡게 되었던 거에요.
고대 문명에서는 실생활에서 계산과 측정이 용이한 숫자 체계를 선호했기 때문에, 10진법보다 60진법이 먼저 자리 잡았어요.
60진법이 유리했던 이유는,
60은 2, 3, 4, 5, 6 등 다양한 숫자로 나누기 쉬운 숫자라서, 무역이나 시간 계산, 측량 등에 매우 적합했다. 예를 들어, 물건을 나눌 때 60개를 기준으로 하면 절반(30개), 3등분(20개), 4등분(15개), 5등분(12개) 등 여러 방식으로 쉽게 나눌 수 있었습니다.
이런 이유로 바빌로니아인들은 60진법을 사용했고, 이 개념이 이후에도 여러 문화에 영향을 주었어요. 지금도 시간(60초, 60분), 각도(360도), 원의 분할(12시간제 시계) 등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즉, 60진법은 실용적인 이유로 먼저 정착되었고, 이후 문명이 발전하면서 10진법이 더 보편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던 거에요.
이처럼 12는 2, 3, 4, 6 등으로 공평하게 나누기 쉬운 숫자이기 때문에, 실생활에서 유용하게 사용되었습니다.
참고로 이것을 '12진법'이라고 하지는 않아요. '12진법(duodecimal system)'이라는 개념이 실제로 존재합니만, "dozen(12개 단위)" 개념과는 조금 차이가 있습니다.
12진법(duodecimal system)이란? (요부분은 그냥 훑어 보세요)
12진법은 기본 단위가 12인 수 체계로, 숫자를 0부터 11까지 사용하여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쓰는 10진법(Decimal system)과 달리, 12를 "10"으로 표기하고, 11을 별도의 기호(보통 A나 B)로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12진법에서:
- 10진법의 10 = 12진법의 A
- 10진법의 11 = 12진법의 B
- 10진법의 12 = 12진법의 10
- 10진법의 24 = 12진법의 20
"Dozen(12개 단위)"와 12진법의 차이
- "Dozen"은 단순히 12개를 하나의 묶음으로 세는 개념입니다. (예: a dozen eggs = 계란 12개)
- 12진법은 숫자를 표현하고 계산하는 방식으로, 우리가 10진법을 사용하는 것과 비슷한 개념입니다.
좀 개념에 혼란스러울것 같은데, 정리해서 다시 설명하면,
1. 12진법과 Dozen(12개 단위)의 차이
- 12진법(duodecimal system): 숫자를 12를 기준으로 계산하는 수 체계
→ 예를 들어, 우리가 사용하는 10진법에서는 10이 단위가 되지만, 12진법에서는 12가 단위가 되고, - Dozen(12'개' 단위): 단순히 12개를 하나의 묶음으로 세는 개념
→ 예를 들어, 계란 12개를 묶어 "a dozen eggs"라고 하는 것처럼, 12개 단위로 물건을 세는 방식입니다.
즉, 12진법과 Dozen은 같은 12라는 숫자를 기반으로 하지만, 하나는 숫자 체계이고 하나는 단위 개념이라는 점이 다르다는 겁니다.
2. 12진법과 60진법의 관계
- '12진법(duodecimal)'과 '60진법(sexagesimal)'은 서로 다른 개념이지만, 12는 60의 약수이므로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 바빌로니아인은 60진법을 사용했지만, 60은 12의 배수이기 때문에 12도 자주 사용되었어요.
→ 예를 들어, 1시간이 60분이고, 1분이 60초인 것처럼, 60이라는 숫자는 12로 쉽게 나누어집니다.
즉, 12진법이 독립적으로 존재하지만, 60진법과 연결되어 실생활에서 함께 사용되었던 측면이 있는거죠.
따라서, Dozen 개념과 12진법은 다르지만, 12진법과 60진법은 일부 연관이 있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12는 2, 3, 4, 6으로 나누기 쉬워서, 10보다 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일부 학자들은 10진법보다 12진법이 더 합리적인 수 체계라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실제로 역사적으로 일부 문명(예: 고대 바빌로니아, 마야 문명)에서는 12진법 또는 60진법을 사용하기도 했구요.
하지만 오늘날에는 10진법이 압도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어, 12진법은 특수한 경우(예: 시간, 각도 측정 등)에만 일부 남아 있는것을 우리는 의식하지는 못했지만 당연히 쓰며 알고 있다는것 알고 계셨습니까? ^^
미국은 계란 구매에 갯수 제한을 걸어 놨네요. 이를 영어로 표기하는 일반적인 표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일반적인 표현
- Purchase limit: X per customer (고객당 X개 구매 제한)
- Limit of X per person (1인당 X개 제한)
- Maximum X per order (주문당 최대 X개)
- You can only buy up to X units (최대 X개까지 구매 가능)
- Limited to X per customer (고객당 X개로 제한)
2. 구체적인 상황별 표현
- "Limit: 2 per customer" → 고객당 2개까지 구매 가능
- "Maximum purchase: 5 per order" → 주문당 최대 5개까지 가능
- "Only 1 item per person allowed" → 1인당 1개만 구매 가능
- "Due to high demand, purchase is limited to 3 per customer" → 수요가 많아 고객당 3개로 제한
이 중에서 "Limit: X per customer" 같은 표현이 가장 흔하게 사용된다는점 참고로 알고 계시면 됩니다.
끝.
'뉘앙스의 차이가 고급영어 스킬의 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간 little, tiny, slight, subtle 얼마나 약간인데?? (0) | 2025.03.09 |
---|---|
미국인들은 '뉘앙스'라고 하면 잘 모르던데?? (2) | 2025.03.08 |
우리에게 익숙하지 않은 영어 문장 부호/기호 ; : 를 사용할 줄 아시나요? (0) | 2025.03.08 |
's 와 s'의 표현 구분, 차이, 의미 구별 (2) | 2025.03.07 |
단어 강세에 따른 발음 변화, 뜻 찾는 꿀팁! (0) | 2025.03.05 |
문법 같은건 모르겠고, 단어의 위치 배열로 쉽게 문장 만들고 말하기 (0) | 2025.03.05 |
알파벳 e로 끝나는 단어 Magic E/Silent E 규칙 (feat. sit, site 등등등) (0) | 2025.03.04 |
영어의 기본 모음이 6개라고??? a,e,i,o,u 5개 아녔엇???!! (0) | 2025.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