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사영어 15

any longer 와 anymore 뉘앙스 차이

"any longer"와 "anymore"는 둘 다 "더 이상"이라는 의미지만 뉘앙스 차이가 있습니다. 어느 것이 더 강한 어조일까요? 1. 주요 차이점"any longer" → 부정문에서만 사용됨. (격식적이고 문어적인 느낌)"anymore" → 부정문과 의문문에서 사용됨. (더 구어적인 느낌)    2. 예문 비교  "any longer" (좀 더 격식적이고 문어체)I don’t live here any longer. → 나는 더 이상 여기 살지 않아.She doesn’t work for the company any longer. → 그녀는 더 이상 그 회사에서 일하지 않아.  "anymore" (더 구어적, 일상적)I don’t live here anymore. → (일상적인 표현)She does..

영어의 기본 모음이 6개라고??? a,e,i,o,u 5개 아녔엇???!!

[이 포스팅은 일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일정액의 커미션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영어에서 기본적인 모음(Vowels) 은 a, e, i, o, u 이렇게 5개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발음할 때는 이 5개뿐만 아니라 y도 때때로 모음 역할을 합니다.  1. 영어의 기본 모음 5개  a, e, i, o, u → 이 다섯 개는 항상 모음으로 사용됩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짧은 모음과 긴 모음의 발음을 어떻게 하는지 전해드릴게요.) cat, bet, sit, hot, cut (짧은 모음)cake, meet, site, note, cute (긴 모음) 2. y도 모음 역할을 할 수 있음!  y는 보통 자음이지만, 어떤 단어에서는 모음 역할을 합니다. happy, gym, cry, baby→..

'due to'와 'because'의 의미 뉘앙스와 사용 차이

둘의 사용차이는 바로 '품사'에요! due to는 전치사이고, because는 접속사라서 뒤에 오는 구조가 달라지는 거에요.  의미는 거의 같아요(뉘앙스는 굳이 따질 필요없이 같습니다.). 하지만 품사가 다르기 때문에 사용법이 다른겁니다.      의미상으로 보자면,1️⃣ "due to" → 전치사 (preposition)뒤에 명사(Noun)나 명사구(Noun phrase)가 와야 함"~ 때문에", "~로 인해"라는 뜻 (좀 더 격식 있는 느낌)2️⃣ "because" → 접속사 (conjunction)뒤에 *완전한 문장(S + V)*가 와야 함"~하기 때문에"라는 뜻 (일반적으로 더 자연스럽고 일상적인 느낌)  이 문장을 보다가 생각이 나서 적어서 올리게 됬어요. He has had a major lo..

문장의 끝 단어에 '-s'는 어떤 경우? 해석이 왜 다른가

혹시 이런거 궁금하신분 계실까요?뭐냐면 content와 contents의 전달하는 뜻이 다르다는 거에요 's'차이로 말에요. 이 두 단어는 단수형과 복수형의 차이로 사용되는 맥락이 다르죠. 🔹 content (단수)의미: 내용, 주제, 함유물 등,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특정 주제나 내용을 지칭할 때는 일반적으로 단수형으로 사용됩니다. "The content of the book is very interesting."(그 책의 내용은 매우 흥미롭다.)"The website content is well-organized."(웹사이트의 내용은 잘 정리되어 있다.)"This course focuses on the content of ancient history."(이 강의는 고대 역사에 대한..

전세계 유명 유튜버 '미스터비스트'가 '틱톡' 인수에 관심 보여

중국 소유의 플랫폼인 틱톡. 특히나 미국에서 금지와 규제를 두고 화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틱톡의 인수에 대해 여러가지 말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트럼프는, 미국인들이 많이 이용하는 플렛폼으로 틱톡이 미국과 50:50의 오너쉽을 가질 수 있고 더 많은 성장 가치가 있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미국이 원하느냐 아니냐에 따라 가치를 가지느냐 아니냐로, 한마디로 주도권은 미국에 있다는 의미로 느껴졌어요. 트럼프는 취임날 집무실에서 이를 차분하게 말했지만 말 자체에 굉장한 자신감과 힘이 있었어요. ㄷㄷㄷ 이 가운데 '오징어 게임'을 개인 유튜브에서 실제로 세트장을 만들어 똑같이 참가자들을 모으고 게임을 하는 모습을 유튜브에 올리며 더 유명해진 유튜버 '미스터비스트'가 진짜로 틱톡 인수에 관심이 있는건지 아래의 기..

미국 H-1B 비자(전문가, 기술자 비자) 강화 : Donald Trump On H-1B Visa Crackdown

·요 며칠은 트럼프가 취임하며 여러가지 정책을 한꺼번에 쏟아내고 있어서 미국정부 얘기만 계속 전하게 되네요.아닌게 아니라, 앞으로라도 알고 있으면 좋을 내용들이니 참고 하고자 계속 전하게 됩니다. 사람일은 어떻게 될지 모르는거죠. 포스팅이 유익하셨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우선은 H-1B 비자에 대해 뭐가 바뀌는 건지, 어떻게 되어 가는지에 대해 전해들릴게요.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대통령은 이전 임기때, H-1B 비자와 관련해 여러 가지 정책을 제안하거나 시행했습니다.H-1B 비자는 미국 내에서 외국인 고급 기술 인력을 고용하기 위한 비자로, 주로 IT, 엔지니어링, 의학, 학문 분야에서 사용되었어요. 이게 바이든 행정부에서 일부 수정되거나 철회되었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H-1B 정책은..

트럼프 김정은 언급, How's Kim Jong Un doing?

트럼프는 취임식날 저녁 피날레 파티에서 주한미군에 배치되 있는 사령관들이 모인 자리에서 화상통화를 했는데요. 김정은은 어떠냐며 농담으로 분위기를 풀며 군인들과의 대화를 시작했습니다. 전해진 영상에선 짧게 축하 인사말을 하며 마무리 하였습니다.  "How's Kim Jong Un doing?" Trump to Troops Deployed In South Korea at Commander-In-Chief at Inaugural Ball  김정은은 어떻게 지내? : 트럼프, 취임 파티에서 한국에 배치된 총사령관 군인들에게  Trump to Troops 트럼프가 주둔 군인들에게Deployed In South Korea 한국에 배치된at Commander-In-Chief at Inaugural Ball 취임식 파..

이스라엘과 하마스 휴전 협정 맺어 'ceasefire deal'

오전엔 흐리다가 눈발이 조금 날렸는데......, 이스라엘과 하마스가 'ceasefire deal' 휴전협정을 했다고 합니다. 세계에서 여기저기 사건이 이어지는데 이제 좀 진정이 되려는 국면으로 들어가는 시작이 될까요? 2025년 1월 16일, 오늘 제가 가지고 온 기사 몇 줄 바로 들어갑니다. Biden says he is 'deeply satisfied' with the Israel-Hamas ceasefire deal, which will also include the release of dozens of hostages in Gaza satisfy [ˈsætɪsfaɪ] 만족하다, 흡족하다 he is deeply satisfied 그는 아주 만족스러워 했다. ceasefire 휴전, 정전..

2025년 1월 15일, 윤석열 체포 South Korean officials detain impeached President Yoon on second attempt

헌정사상 애초부터 없었어야 할 일이 기록에 남게 됬습니다. 모든 것은 정상으로 돌려놔야 합니다. 다행히 체포는 됬지만 이제부터 스무 고개가 시작되는 것 같아 보입니다.  2025년 1월 15일 발, 외신기사에 나온 제목글을 시작으로 몇 가지 주요 타이틀 문구만 가지고 오늘 시작해 봅니다.   South Korea officials detain impeached President Yoon on second attempt   detain  [dɪˈteɪn] 구금하다, 억류하다, 붙들다, 보류하다 1.동사 (경찰서·교도소 ·병원 등에) 구금[억류]하다2.동사 격식 (어디에 가지 못하게) 붙들다, 지체하게 하다 (→detention)억류(抑留) : 누를 억, 머무를 류(유) | 억지로 머무르게 함 (유의어:구속..

뉴스에서 자주 사용하는 문장 구조 분석하기

원론적인 설명이지만 기본적인 것이라 문맥을 잡는데 필요한 것 같아서 설명을 드리려고 해요. 뉴스 기사에서 자주 사용되는 문장 구조는 독자에게 명확하고 간결하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설계된 특징적인 패턴을 따릅니다. 이러한 구조를 분석하고 이해하면 독해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글쓰기나 말하기에도 얼마든지 응용할 수 있거든요. 아래는 뉴스에서 자주 사용되는 문장 구조와 이를 효과적으로 이해하는 방법을 설명 드릴까 해요.  1. 간결하고 직접적인 문장 구조(1) 주어-동사-목적어(SVO) 구조뉴스의 기본적인 문장 구조는 SVO 형태로 간결하게 작성됩니다.예시:"The government announced new policies."  정부는 새로운 정책을 발표했습니다.분석:주어(S): The governmen..

반응형